성화 2

세례와 할례로 본 칭의와 성화의 연관성

사람이 살아가는 동안 할례와 세례는 단 한 번 받습니다.구약시대 할례는 살을 베는 의식으로 태어난 지 팔일 만에 실행됩니다.세례는 모태 신앙의 경우 유아세례를 행합니다.할례와 동일하다는 관점에서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아이에게 세례를 줍니다.  겉으로 드러난 할례나 물세례는 단 한 번뿐이지만 성경은 우리 신자들로 하여금 자주, 반복해서 할례와 세례를 이야기합니다. 육체의 할례나 물세례는 죄인이 의롭게 되었다는 칭의를 외적으로 드러낸 것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죄를 씻음과 그 결과 성령의 내주로 인한 거룩함 그리고 의롭게 되었다는선언(칭의)이 따라옵니다.  칭의와 더불어 성화 곧 성도가 살아가는 거룩한 삶과 할례와 세례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할례는 구약 이스라엘 곧 성도들이 의롭게 되었다는 '칭의'..

6. 난해구절 2025.01.22

구약의 구원론

'의와 죄의 존재 유무'는 무엇으로 판단될까요? 의인이 의를 가볍게 여겨 죄 가운데 거하면 어찌 될까요? 죄인이 그가 범한 죄에서 돌이켜 회개하면 그 죄는 어찌 될까요? ★ 인자야 너는 네 민족에게 이르기를 의인이 범죄하는 날에는 그 공의가 구원하지 못할 것이요, 악인이 돌이켜 그 악에서 떠나는 날에는 그 악이 그를 엎드러뜨리지 못할 것인즉 의인이 범죄하는 날에는 그 의로 말미암아 살지 못하리라(겔33:12) 구약의 구원론은 죄로 지배당하는 성도들은 결코 구원에 이르지 못함을 강조합니다. 물론 이런 배경에는 기본적으로 아브라함의 의를 모태로부터 받은 은총에 근거합니다. 이스라엘은 모태로부터 할례를 받은 자들입니다. '마음과 몸에 할례'를 받았기에 하나님의 성전에 들어가며 하나님과 교제할 수 있습니다. 이..

8. 구원론 2024.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