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 유대교 3

바울의 문체 이해

20. 유대인들에게 내가 유대인과 같이 된 것은 유대인들을 얻고자 함이요,       율법 아래에 있는 자들에게는 내가 율법 아래에 있지 아니하나 율법 아래에 있는 자 같이       된 것은 율법 아래에 있는 자들을 얻고자 함이요 21. 율법 없는 자에게는 내가 하나님께는 율법 없는 자가 아니요 도리어 그리스도의 율법       아래에 있는 자이나 율법 없는 자와 같이 된 것은 율법 없는 자들을 얻고자 함이라     (고전9:20-21) 바울서신에서 난해함으로 인한 혼란은 무엇 때문일까요?예수님이 부활하신 후 오순절 성령이 오셨고 그 결과 예표의 시대가 끝났음에도 불구하고바울은 구약을 따라 결례를 행했습니다(행21:24-26). 이스라엘이 아닌 외국에서 태어난 유대인들에게는 할례와 관습을 지키지 말라고..

14. 바울서신 2025.01.05

유대교

1. 사탄의 회당부활하여 천상에 계신 예수님은 유대교에 대해 아주 박한 평가를 하십니다. 유대교나 그것을 믿는 자들은 더 이상 하나님의 자녀가 아니라고 평가합니다.유대교가 하나님과 복음에 대해 이야기를 하지만 '다른 복음'이라 합니다. * ...자칭 유대인이라 하는 자들의 비방도 알거니와 실상은 유대인이 아니요,   "사탄의 회당"이라(계2:9)* 보라 "사탄의 회당" 곧 자칭 유대인이라 하나 그렇지 아니하고 거짓말 하는 하는 자들  중에서 ...(계3:9) 초대교회 사도요한은 영지주의자들을 사탄의 맏아들로 표현했습니다.어느 사람이나 사상에 사탄이란 칭호를 붙이는 것은 복음과는 무관하며, 구원이 아닌사망의 가르침이란 의미를 부여합니다. 2. 예수님이 책망한 유대교 1) 외식하는 자유대교 지도자들은 사람에..

12. 복음서 2024.12.03

바울과 팔레스타인 유대교

이 책은 텍사스 출신 E.P. 샌더스가 쓴 책으로 바울신학과 복음서에서 갈등을 빚은 유대교의구원론(?)을 다룬 책입니다. 유대교(주전 200 ~ 주후 200)가 무엇을 주장하는지 다루겠다는 것이샌더스의 일관된 주장입니다.  이 책은 기존 개혁주의 교회와 신학자들이 가진 가 진실이 아니라크게 왜곡되었다는 관점으로 결론을 맺습니다. 유대교가 율법을 준수해서 구원에 대한 확신을 가진다는 견해들이 유대교 문헌들과는전혀 매칭이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샌더스는 유대교가 행위구원을 강조하지 않고, 오히려 은혜와 회개 가운데서 율법을 선물로여기며, 율법을 행함으로 하나님의 뜻을 존중하는 것으로 바라봅니다.회개(참회)를 통하여 죄가 속함을 받고 구원에 이르기에 유대교가 율법주의 종교가 아닌은혜의 종교라 생각합니다...

26. 책 소개 2024.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