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칼빈신학

기독교 강요 제 2 권 목차

오은환 2018. 1. 19. 22:41

계속해서 제 2 권의 목차를 기술합니다. 전체적인 틀 안에서 보았으면 합니다.

 

 목  차 

* 독자에게 드리는 글 - 존 칼빈

* 기독교 강요 : 역사, 저작 목적, 사상적 배경

* 프랑스 왕 프란시스 1세에게 드리는 헌사

 

제 1 권 창조주 하나님에 관한 지식

제 2권 그리스도 안에 계신 구속자로서의 하나님에 대한 지식 : 처음에는 율법으로 조상들에게,

         그리고 다음에는 복음으로 우리에게 계시되었다.

         (제목만 보면 율법과 복음이 전혀 다른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제 1 장 아담의 타락과 배반으로 인류 전체가 저주에 넘겨졌고, 그 원상태가 부패하였다 : 원죄론

제 2 장 인간은 지금 선택의 자유를 박탈당한 채 비참한 노예의 신분으로 전락해 있다.

제 3 장 사람의 부패한 본성에서 나오는 것은 오직 정죄받을 일밖에 없다.

제 4 장 하나님은 사람의 마음속에서 어떻게 역사하시는가? 

제 5 장 자유의지 옹호론자들이 보통 하는 항의를 논박한다.

제 6 장 타락한 인간은 마땅히 그리스도 안에서 구속을 구해야 한다.

제 7 장 율법을 주신 목적은 구약 백성을 그것으로 억제하시려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을 얻으리라는

          희망을 그가 오시기까지 배양하시려는 것이었다.

제 8 장  도덕적 율법(십계명)의 설명

제 9 장  그리스도는 율법 하의 유대인들에게도 알려지셨으나, 오직 복음 안에서 상세하고 분명하게 계시되었다.

            (율법의 부정적인 측면이 부각되지 않았으면 합니다. 율법 역시 그리스도 안에서 의롭게 됨을 증거합니다)

제 10 장 신구약의 유사점 

제 11 장 신구약의 차이점

제 12 장 중보의 직책을 다하기 위하여 그리스도는 사람이 되셔야 했다.

제 13 장 그리스도는 사람의 육신의 진정한 본질을 취하셨다.

제 14 장  중보의 두 본성은 어떻게 한 위격을 이루는가?

제 15 장 성부께서 그리스도를 보내신 목적과 그리스도께서 우리에게 주신 것을 알기 위하여는 무엇보다도 그의

             예언자와 왕과 제사장으로서의 세 가지 직책을 보아야 한다.

제 16 장 그리스도는 우리를 구원하시려고 어떻게 구속자의 기능을 다하셨는가?

             여기서 그의 죽음과 부활과 승천도 논한다.

제 17 장 그리스도께서 자기의 공로로 하나님의 은총과 구원을 우리에게 얻어 주셨다고 하는 것은 정당한

            주장이다.

'21. 칼빈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독교 강요 제 4 권 목차  (0) 2018.01.19
기독교 강요 제 3 권 목차  (0) 2018.01.19
기독교 강요 제 1 권 목차  (0) 2018.01.19
기독교 강요 역자 서문  (0) 2018.01.16
칼빈의 시대 이해  (0) 2018.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