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지주의자 2

계시록에 나타난 구원의 길

계시록을 보는 여러 관점들이 존재합니다.조직신학적으로 보면, 우선 종말론의 관점으로 다루려고 합니다만 교회론과 신론 그리고기독론과 성령론까지 언급되어 있기에 다양한 관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 인간의 관점으로 볼 때 가장 관심이 가는 것은 역시 "구원론"입니다. 종말에 어떤 사건들이 많이 나오느냐도 관심이 많지만 어떤 자들이 구원을 받는가는 제일 큰 흥미를 자아냅니다. 예수님은 복음서에서 성화를 엄청 강조합니다. 칭의 자체는 논의조차 하지 않게 보입니다.왜 그럴까요?이미 유대인들은 어머니 뱃속에서부터 다 칭의를 입었기 때문입니다. "성화 없는 구원은 없다" 구약성경과 복음서 그리고 계시록에서 뚜렷하게 나타난 구원의 프레임입니다.개혁주의 신학의 구원론과는 결이 많이 다릅니다.  * ...내가 네 행위를..

5. 계시록토론 2024.12.30

48. 니골라 당은 누구인가?

1. 니골라 당의 이해 계시록을 해석하면서 니골라 당이 누구인지 먼저 알아야겠습니다. 니골라 당과(계2:6) 발람의 교훈(계2:14-15, 유11) 그리고 이세벨의 교훈(계2:20)은 모두 같기 때문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니골라 당의 교훈이 교권주의의 횡포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본문을 보면 교권주의와 교회 내의 우상의 제물을 먹게 하거나 음행하게 하는 일이 동일시될 수 없기에 이런 주장은 설득력이 약합니다. 교권주의가 주후 100년경에 초대교회를 힘들게 하는 일을 했을까요? 이런 문제는 연구가 별로 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그런 문제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로마교회의 대표성 문제 역시 1세기경에는 전혀 없었습니다. 교회사가들은 이런 문제가 로마 황제 콘스탄틴의 기독교 공인 이후(주후 313년)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