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의 가정에서 태어난 자녀들은 제사를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거의 접하지 못하기에 생소합니다.
그뿐 아니라 한국식 제사와 성경의 제사가 왜 그토록 다른지도 이해 못합니다.
성경의 제사제도의 특징을 몇 가지로 요약해봅니다.
1. 철저하게 죄 사함이 목적
제사의 주 목적이 죄 사함과 직결되어 있습니다.
하나님과의 죄 그리고 이웃과의 죄에 대해서 엄격하게 피 흘림을 요구합니다.
때때로 감사제와 서원제도 있지만 죄 사함에 근거한 제사입니다.
죄 사함과 관련되어 반드시 핏값을 요구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죄의 삯은 사망(롬6:23)이듯 하나님은 죄를 결코 쉽게 간과하지 않습니다.
반드시 대가를 지불하라 하십니다.
2. 죄 지은 자가 자신을 드리는 예식
흠과 점이 없는 동물을 고르는 것에서 데리고 성전으로 가는 것 그리고 번제물의 머리에 안수 하는 것까지
죄지은 자가 해야 합니다(레1:4). 심지어 죄인이 손수 동물을 잡아 죽이고, 가죽을 벗기고 각을 떠야 합니다(레1:5,6).
실상 이런 일을 행하는 것이 얼마나 능숙하겠습니까? 서툴고 두려움이 밀려 올 것입니다.
죄에 대한 비참함과 자신을 대신해서 죽어야 하는 동물을 보면서 무슨 생각이 날까요?
3. 속죄
동물을 번제물로 드림으로 죄인에게 실질적인 죄 사함이 일어납니다.
하나님은 그 번제물을 기쁘게 받으십니다.
마음은 아프지만 더 사랑하는 자녀들이 정결하게 됨을 보면서 기뻐하십니다.
* 그는 번제물의 머리에 안수할지니 그를 위하여 기쁘게 받으심이 되어, 그를 위하여 속죄가 될 것이라(레1:4)
4. 번제
번제는 히브리어로 '올라'로, 올라가다 혹은 상승하다의 의미입니다.
제사법의 특징은 피를 단 사면에 뿌리고(레1:5), 가죽을 제외한 제물 전체를 제단 위에 불살라(화제) 드립니다(레1:13).
번제물의 재를 진 밖 정결한 곳에 버립니다.
번제 제사의 목적은 하나님께 대한 온전한 충성 및 헌신을 상징합니다(레9:12-14,16).
5. 하나님이 받으시는 제사
제사에 대한 하나님의 반응은 어떻습니까?
드린 제물을 '향기로운 냄새'로 받습니다(레1:9,13,17).
드리는 자는 하나님이 기쁘시게 받도록 노력해야 합니다(레1:3).
하나님이 원하시는 방법 - 장차 수난당할 그리스도를 예표 - 대로 드려야 합니다.
흠과 점이 없어야 합니다(레1:3).'
그런 제물을 드릴 때 하나님은 맏아들을 생각하시어 기쁘게 받으십니다.
'10. 레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꺼지지 않는 불 (0) | 2017.04.15 |
---|---|
먹지 못하는 제물 (0) | 2017.04.15 |
다섯 가지 제사 (0) | 2017.04.09 |
외부에서 본 레위기 (0) | 2017.04.09 |
히브리서를 통해 본 레위기 (0) | 2017.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