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레위기

제사는 왜 드리라 하는가?

오은환 2017. 4. 12. 18:14

신앙의 가정에서 태어난 자녀들은 제사를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거의 접하지 못하기에 생소합니다. 

그뿐 아니라 한국식 제사와 성경의 제사가 왜 그토록 다른지도 이해 못합니다. 

성경의 제사제도의 특징을 몇 가지로 요약해봅니다.

 

1. 철저하게 죄 사함이 목적

제사의 주 목적이 죄 사함과 직결되어 있습니다.

하나님과의 죄 그리고 이웃과의 죄에 대해서 엄격하게 피 흘림을 요구합니다.

때때로 감사제와 서원제도 있지만 죄 사함에 근거한 제사입니다.

 

죄 사함과 관련되어 반드시 핏값을 요구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죄의 삯은 사망(롬6:23)이듯 하나님은 죄를 결코 쉽게 간과하지 않습니다.

반드시 대가를 지불하라 하십니다.

 

2. 죄 지은 자가 자신을 드리는 예식

흠과 점이 없는 동물을 고르는 것에서 데리고 성전으로 가는 것 그리고 번제물의 머리에 안수 하는 것까지

죄지은 자가 해야 합니다(레1:4). 심지어 죄인이 손수 동물을 잡아 죽이고, 가죽을 벗기고 각을 떠야 합니다(레1:5,6).

실상 이런 일을 행하는 것이 얼마나 능숙하겠습니까? 서툴고 두려움이 밀려 올 것입니다. 

죄에 대한 비참함과 자신을 대신해서 죽어야 하는 동물을 보면서 무슨 생각이 날까요?

 

3. 속죄

동물을 번제물로 드림으로 죄인에게 실질적인 죄 사함이 일어납니다. 

하나님은 그 번제물을 기쁘게 받으십니다.

마음은 아프지만 더 사랑하는 자녀들이 정결하게 됨을 보면서 기뻐하십니다. 

* 그는 번제물의 머리에 안수할지니 그를 위하여 기쁘게 받으심이 되어, 그를 위하여 속죄가 될 것이라(레1:4) 

 

4. 번제 

번제는 히브리어로 '올라'로, 올라가다 혹은 상승하다의 의미입니다. 

제사법의 특징은 피를 단 사면에 뿌리고(레1:5), 가죽을 제외한 제물 전체를  제단 위에 불살라(화제) 드립니다(레1:13).

번제물의 재를 진 밖 정결한 곳에 버립니다.

번제 제사의 목적은 하나님께 대한 온전한 충성 및 헌신을 상징합니다(레9:12-14,16).

 

5. 하나님이 받으시는 제사 

제사에 대한 하나님의 반응은 어떻습니까?

드린 제물을 '향기로운 냄새'로 받습니다(레1:9,13,17).

드리는 자는 하나님이 기쁘시게 받도록 노력해야 합니다(레1:3).

 

하나님이 원하시는 방법 - 장차 수난당할 그리스도를 예표 - 대로 드려야 합니다. 

흠과 점이 없어야 합니다(레1:3).'

그런 제물을 드릴 때 하나님은 맏아들을 생각하시어 기쁘게 받으십니다.

'10. 레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꺼지지 않는 불  (0) 2017.04.15
먹지 못하는 제물  (0) 2017.04.15
다섯 가지 제사  (0) 2017.04.09
외부에서 본 레위기  (0) 2017.04.09
히브리서를 통해 본 레위기  (0) 2017.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