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황한 설명을 반복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정립된 용어를 사용합니다.
개혁주의라는 용어 역시 매우 함축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특별히 개혁이란 말은 중세를 이끌고 갔던 카톨릭 사상에 대한 저항으로 나온 것입니다.
무엇보다도 카톨릭의 비성경적인 사상들을 거부하고, 성경으로 돌아가자는 골격을 지닌 것이
개혁입니다.
오직 성경, 오직 믿음, 오직 은혜, 얼마나 카톨릭이 성경을 멀리 떠났기에 이런 용어들이
등장하게 되었을까요?
중세교회사를 돌아보면 쉽게 찾을 볼 수 있습니다.
성경과는 너무도 다른 카톨릭이 중세 천 년을 버티었던 것을 다시금 성경으로 돌아가는 것으로
회복하자는 것이 개혁주의자들의 생각이었습니다.
그런 관점에서 종교 개혁자들은 개혁을 시작한 분들입니다.
그분들로 인하여 시작된 개혁은 그 때로 끝나거나 완성되지 않았습니다.
성경으로 계속해서 돌아가는 것이 모든 시대의 모든 교회와 그리스도도인의 사명입니다.
1. 개혁주의
1) '교회 용어 사전'에 나오는 개혁주의
'개혁주의'(改革主義)는 문자 그대로 '늘 새롭게 고쳐나간다'는 개혁 사상을 가리킨다.
즉, 성경에 비추어 바르지 못한 것들을 늘 개혁해 나가며, 하나님 앞에 바로 설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 개혁주의이다. 그런데 '개혁주의'란 말이 매우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기에 개혁주의를 한 마디로 요약하기엔 어려움이 있다.
흔히, 루터의 종교개혁을 배경으로 신교(新敎)가 시작되었다고 보는데, 신교가 '종교개혁'을
배경으로 출발하였기에 신교를 통틀어서(장로교, 감리교, 성결교 등 모든 개신교교파 포함)
'개혁주의'라고 칭한다.
이는 광의적인 의미에서의 개혁주의라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협의적인 의미에서의 '개혁주의'는 종교 개혁자 칼빈(JohnCalvin, 1509-1564년)의
사상 및 그 감화를 받은 프로테스탄트주의의 개혁사상을 의미하고, 교회적으로는 개혁파 또는
장로파라고 하는 교회 조직의 신앙과 신학을 가리킨다.
이런 맥락에서 '개혁주의'를 일명 '칼빈주의'라고도 한다.
한편, 협의적인 의미의 개혁주의가 지닌 특징은 무엇보다 하나님의 주권 중시, 성경 중심주의,
하나님의 은혜에 의한 신앙, 오직 믿음으로 구원받는다는 신앙 및 의인(義認)과 성화(聖化) 등을
신조로 삼고 있으며, '오직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존재하는 것을 신앙의 목표로 삼고 있다.
개혁주의 5대 강령을 보면,
① 인간의 완전한 타락(전적인 부패)
② 무조건적 선택(예정)
③ 제한적 속죄(선택 구원)
④ 불가항력적 은혜
⑤ 성도의 견인(보호. 완전 구원) 등이다.
[네이버 지식백과]개혁주의 [reformism, Calvinism] (교회용어사전 : 교리 및 신앙, 2013.
9. 16., 생명의말씀사)
2) 위키백과의 개혁주의
개혁주의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신학 : 종교개혁 이후에 발생한 개신교 사상 중 루터교회와 구별되는 칼뱅주의를 뜻한다.
장로교회와 개혁교회에서 따르는 신학노선이며,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및
대.소요리로 불리는 고유의 신조를 갖고 있다.
2. 복음주의
1) 네이버 두산백과 속의 복음주의[ evangelicalism, 福音主義 ]
성서에 밝혀져 있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중시하는 그리스도교의 입장,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입장들이 있다.
① 가톨릭에 대한 프로테스탄트의 입장, 즉 종교개혁자 특히, M.루터가 말한, “인간은 신앙에
의해서만 의롭다 함을 입는다”는 주장, 즉 이신득의론(以信得義論)이 있다.
② 근대 자유주의신학에 대항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동정녀(童貞女) 잉태와 십자가 및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믿는 신앙의 입장이다.
즉, 예수가 가르친 ‘하나님의 나라(천국)’의 복음보다는 그것과 완전히 격리된 관계에서는
아니나 바울이 주장하는 속죄(贖罪)와 부활의 신앙을 강조하는 입장,
③ 성서를 지나치게 중시하는 성서주의의 입장,
④ 성서를 중시함과 동시에 성령에 의한 신앙의 체험을 강조하는 체험주의를 가리키는 입장,
⑤ 성서의 신학적 탐구 ·해명보다는 오히려 실제 전도를 중시하는 경우 등이다.
이상과 같이 복음주의는 그것을 주창하는 자의 입장에 따라 다소 그 의미가 다르지만 모두
성서에서 가르치는 복음에 중점을 둔다는 점에서는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아무리 복음주의
입장에 있다고 자처하는 현대의 교파들에도 엄격히 따지고 보면 비(非)복음적 요소가 다분히
남아 있음을 보게 된다.
즉 율법주의 ·정령숭배사상 등의 요소들이다.
[네이버 지식백과]복음주의 [evangelicalism, 福音主義] (두산백과)
2) 종교학 대사전 속의 복음주의
16세기 초의 서유럽에서, 종교개혁에 앞서서 가톨릭교회의 조직 내에서 정화를 도모해서
신앙을 쇄신하려고 시도한 운동, 또는 그 근저에 있는 사고방식. 프랑스어로 evangelisme.
이미 중세 이후 그리스도 중심의 생기있는 내면적 신앙을 부활시키려는 〈새로운 신심
(Devotiomoderna)〉 운동이 네덜란드에서 북프랑스에 걸쳐서 퍼졌는데, 그 영향하에 자라고
인문주의적 방법도 몸에 익힌 에라스무스나 푸페블 데터플은 종래 교회가 의지하지 않았던
성서의 헤브라이어ㆍ그리스어 원전이나 고대 교부문학의 재검토를 통해서 새로운 그리스도
신앙의 존재방식을 구하고자 하였다.
전자의 『그리스도교 병사제요』(1504)나 『교정 그리스어 신약성서』(1516), 후자의 『구약
시편교합』 (1509)이나 『교정 성바울서간』(1512) 등은 그 성과이며, 당시 많은 사람의 가슴에
있었던 〈어떻게 믿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답하는 것이었다.
즉, 전자가 주장하는 〈그리스도의 철학〉도 후자가 주장하는 〈순수신앙〉도 동일한 결론에
달하였다.
첫 번째로 그리스도교의 본질을 『신약성서』, 특히 복음서와 바울서간에서 발견한 점,
두 번째는 당연한 귀결로서 신앙생활의 근본을 성서에 있는 그리스도의 가르침과 각 개인과의
직접적ㆍ내면적인 접촉에서 구하고, 신앙의 내면화와 일상생활의 정황을 지향하는 점, 따라서
세 번째로는 성서에 근거가 없는 전승이나 전례를 이의적(二義的)으로 보고, 교의의 간소화를
주장한 점이다.
복음(서)을 최우선하는 생각은 1510년대부터 많은 공명을 불러일으키고,
30년대의 말에 걸쳐서 교회를 내부에서 정화하려는 움직임으로서 나타났다.
20년대 루터파의 교회분리, 특히 40년대 이후 칼뱅파의 성립과 함께 이 운동은 가톨릭측에서도
종교개혁파에서도 이단ㆍ위험시되어서 억압되었는데, 그 정신은 양파의 일부에 저류로서 계승
되었으며 또한 성서주의를 특징으로 하는 프로테스탄트 여러 파의 생각을 〈복음주의〉라고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네이버 지식백과]복음주의 [Evangelism, evangelisme] (종교학대사전, 1998. 8. 20., 한국사전
연구사)
'21. 칼빈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빈의 복음서 이해와 오해 (0) | 2016.05.03 |
---|---|
개혁주의/복음주의/근본주의 (0) | 2016.04.23 |
칼빈이 계시록을 저술했다면 (0) | 2015.11.17 |
이신칭의 (0) | 2015.11.05 |
칼빈 연구의 시발점 (0) | 2015.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