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 나라, 먼 시대 이야기 같지만 할례는 엄연하게 우리에게 풍성함을 제공합니다.
할례는 구약 백성들에게 엄청난 자부심을 주었습니다.
이방인과 구별시켜주는 커다란 증표입니다.
이런 할례가 바울 서신서에는 굉장한 장애물처럼 표현되기도 합니다.
간단히 말해서 그리스도와 할례를 모두 수용함은 올바른 신앙이 아님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그리스도를 믿는 것과 할례를 행하는 것은 모두 같은 의미인데, 그 의미를 알지 못하면 각각 분리하여 모두를 수용하려 합니다.
이것은 온전한 신앙이 아닙니다.
바울은 골로새서에서 할례가 무엇인지 그 진정한 의미를 알려줍니다.
1. 할례와 세례
바울은 주저 없이 유대인의 육체에 행한 할례와 그리스도를 통해 얻은 세례를 비교합니다.
모두 같은 의미를 드러냅니다.
* 또 그 안에서 너희가 <손으로 하지 아니한 할례>를 받았으니 곧 <육의 몸을 벗는 것>이요,
그리스도의 할례니라(골2:11)
구약백성들이 손을 통해 육체에 할례를 행한 것처럼, 예수 안에서 세례를 통해 그리스도의 할례에 참여함을 말합니다.
그런데 할례 곧 세례가 <육의 몸을 벗는 것>이라 정의합니다.
세례의식의 참여가 <죄인의 옛 사람이 죽고 의로운 새 사람으로 다시 사는 것>을 의미합니다.
* 너희가 세례로 그리스도와 함께 장사되고, 또 죽은 자들 가운데서 그를 일으키신 하나님의 역사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그 안에서 함께 일으키심을 받았느니라(골2;12)
2. 할례를 통한 그리스도와의 연합에 참여
바울은 매우 귀중한 의미를 알려줍니다.
할례를 통해 구약 백성들이 죄사함에 참여했다는 것입니다.
물론 그리스도의 구속에 근거한 할례이기에 그런 효능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방인들은 구약 시대에 할례에 참여하지 못했습니다.
할례에 참여하지 못한 이방인들은 어찌 되었습니다.
그들은 여전히 죄 가운데서 하나님께 대해 죽은 자들이 되었습니다.
* 또 <범죄와 육체의 무할례로 죽었던 너희를> 하나님이 그와 함께 살리시고,
우리의 모든 죄를 사하시고(골2:13)
너무도 중요한 말씀입니다.
과거 유대인들도 원죄와 자범죄를 가졌습니다.
그러나 육체의 할례를 행함으로 하나님은 그들의 죄를 사하셨고, 다시 살리셨습니다.
육체의 할례는 마음의 할례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즉 그리스도의 구속과 성령의 내주로 인한 외적 증표인 육체적 할례의 유효함을 의미합니다.
구약 백성들에게 할례는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하심에 참여하는 의식입니다.
3. 할례는 지속되어야 하는가?
바울은 복음이 전파되는 곳에서 할례 문제를 다루었습니다.
당시의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에게와 유대 그리스도인들에게 할례는 전통으로 남아 있어야 할지,
아니면 그리스도의 오심으로 세례로 대치됨으로 없어져야 할지 고민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바울을 공격했던 많은 사람들이 예민한 할례 문제를 꺼내 들었습니다.
* 네가 이방에 있는 모든 유대인을 가르치되 모세를 배반하고, <아들들에게 할례를 행하지
말고>, 또 관습을 지키지 말라 한다 함을 그들이 들었도다(행21:21)
만일 바울이 십자가도 전하고 할례도 받으라고 가르쳤다면 핍박이 없었을지도 모릅니다.
바울도 그런 것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갈5:11).
바울이 강조하고 싶은 것은 할례나 무할례나 그 자체로는 아무 의미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리스도를 모르고 행하는 할례는 실상 무익한 것입니다.
할례는 예수 안에서 그 진정한 의미가 성취되었습니다.
아브라함이 자신의 의로 할례를 받지 않았습니다.
할례는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에 근거해서 받은 것이고 동시에 구속에 참여함의 의식이 됩니다(창15:6, 롬4:11).
*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는 할례나 무할례가 효력이 없으되...(갈5:6)
할례를 비롯하여 구약의 모든 절기나 율법 역시 그리스도의 은총에 참여함으로 그 목적이 달성됩니다(골2:16-17).
'6. 난해구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인동형론(anthropomorphism) (0) | 2015.06.09 |
---|---|
번역의 실수 (0) | 2015.06.05 |
긍정적 신앙이 나올 수 밖에 없는 이유? (0) | 2015.06.03 |
<하나님의 지혜>의 정체 (0) | 2015.06.02 |
마음 & 귀의 할례(행7:51) (0) | 2015.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