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0 3

박형룡 박사의 인물특성(장차남)

"박형룡 박사의 인물특성" 이 논문의 저자(장차남)는 박형룡 박사(1897-1978)의 인물됨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봅니다. 학구적, 활동적, 경건적 관점입니다.  1. 학구적인 면에서 박형룡 박사는,"1935년(38세)에 펴낸 "신학난제선평"은 847페이의 분량으로 한국인에 의해 한글로 저술된최초의 신학서이다"(신학지남, 2011년 여름호, 장차남, p. 13) "이 책은 한국교회의 나침반이 되었고, 그의 교의신학은 한국교회의 지침서가 되었다"(p. 15)  "한철하 박사는 한국기독교 100년사 중 "후기 반세기 동안에 1천 2백만 신도, 수만 교회를 이룬 것에 대하여 그 가장 큰 공로를 박형룡 박사에게 돌려야 한다, 그분이 보수신학을 확실하게세워주지 않았다면 사실 한국교회가 오늘의 한국교회가 될 수..

24. 신학지남 2025.02.10

칭의와 성화(김세윤 교수)

- 목    차 - 1장 칭의론에 대한 신학적 논쟁1. 전통적인 종교개혁적 관점2. 전통적 견해에 대한 도전 1) 기독교 내에서의 도전 2) 유대교의 도전3. 새 관점 학파의 도전 1) 샌더스, 바울과 팔레스타인 유대교 2) 바울의 유대교 비판에 대한 네 가지 해석  (1) 샌더스  (2) 레이제넨  (3) 던과 라이트  (4) 두 언약 이론: 개스튼 등 3) 새 관점의 시대정신 4) 새 관점 학파의 공통점들  (1) 기본 전제로서 언약적 율법주의  (2) 사회학적 접근 방법  (3) 바울의 칭의 교리의 의미 축속  (4) 바울의 율법/유대교 비판  (5) 칭의 교리의 후기 개발론 5) 새 관점에 대한 비판   (1) 바울 해석에 대한 비판   (2) 유대교에 대한 전체 비판 6) 제2성전 시대의 유대교..

26. 신앙서적 2025.02.10

스데반과 바울

신약시대 최초의 순교자 스데반 집사의 죽음에는바울이 있었습니다. 바울은 스데반 집사를 죽게했던 죄인 중의 괴수였습니다(딤전1:15, 행7:58).신학자들은 사도 바울이 회심 후 스데반의 가르침을 따랐다고 주장합니다. 어떤 측면을 따랐는지는 각각 다르겠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복음의 핵심을 잘 파악했다고 보여집니다.  사도행전 7장의 스데반 설교는 명설교로 칭찬을 받습니다. 서로 보는 관점은 다르겠지만 스데반 설교의 핵심은 예수님이나 바울과 동일합니다.유대인은 할례를 통해 거듭난 사람들이 되었는데(칭의를 입음), 그 의를 따라 살지 않았다는 것(성화에 실패)에 일치합니다.  유대인들이 성화(거룩한 삶을 사는 일)에 관해 실패했다는 것을 예수님과 바울 그리고스데반을 통해 책망받습니다. 할례의 언약을 받았으나..

9. 성령 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