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 다른 사상들 96

구원파, 어디서 왔는가?

한국에서 자라난 구원파에 대해 사회적으로도 큰 관심사가 되었습니다. 오대양 집단 자살과 세월호 사고를 통해 구원파에 대한 깊은 연구가 진행중입니다. 8 년 동안 구원파에 소속되어 핵심적인 활동을 하다가 정통교회로 개종한 정동섭 교수는 라는 책을 통해 그들의 정체를 파해칩니다. 권신찬과 유병언, 이요한, 박옥수의 사상을 잘 파악했습니다. 이들은 세 분파처럼 보이지만 뿌리는 하나입니다. * 기독교 복음 침례회(권신찬, 유병언) * 대한 예수교 침례회(이요한) * 기쁜 소식 선교회(박옥수) 1. 세대주의 신학 구원파는 먼저 세대주의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권신찬과 구원파의 핵심 지도자들은 네델란드의 케이스 글라스와 미국의 딕 요크 선교사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유병언은 권신창의 사위가 되면서 같이 일하게 되는데,..

안식교의 예언 이해

주변에서 안식교 교우나 교회들을 보기 힘들어서 별 관심이 없었습니다. 본 카페를 통해 많은 안식교우나 비슷한 견해를 가진 분들이 있기에 그들의 견해를 알아가면서, 왜 그런지 생각해 보았으면 합니다. 안식교 교리는 예언의 일 수를 년 수로 계산합니다. 그렇게 하다 보니 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하여 무리한 해석이 계속해서 나오게 됩니다. 1. 안식교의 예언 이해와 오류 안식교가 인식하는 예언의 성취 기간입니다. 을 취하기 때문에 계시록 역시 재림을 제외한 많은 사건들이 이미 성취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도표를 참고하여 자세하게 살펴보면 많은 오해들을 발견하게 됩니다. 1. 2,300 주야(일) 안식교의 가장 큰 틀을 놓은 구절로 이 부분에서 모든 해석상의 오류들을 시작됩니다. 두 숫양으로 나타난 메데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