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425

이단 감별사들의 구원론 문제점

한국교회에서 이단을 구별하는 일을 하는 자들을 감별사라고 부릅니다. 감별사라는 말은 병아리의 암수 구분에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수컷보다는 암컷 병아리를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일반인들은 병아리를 보고 암수를 구분하기 어렵지만 감별사들은 쉽게 합니다. 이단 감별사들은 주로 어떤 자들일까요? 그 분야에 전문가이며, 때로는 이단에 몸 담았다가 나왔기에 강한 사명감이 있습니다. 이단을 구분하고 싸우는 일은 단순히 지식으로만 가능하지 않고, 현장에서 이단들의 끈질긴 도전과 술수에 대응하기 위한 야성도 갖추어야 합니다. 이단들은 크게 구원론과 종말론에서 문제를 일으키며 정죄를 받습니다. 종말론 역시 구원론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에 이단 감별사들은 성경의 모든 영역에서 온전한 지식을 갖추어야 합니다. 특별히 이단 ..

8. 구원론 2022.09.03

진용식 목사 삼분설

이단 전문가 진용식 목사는 삼분설을 지지할까요? 영과 혼이 서로 다른 존재로 묘사합니다. 그의 강의 후반부로 가면 성령이 어디로 임하는지에 대하여 육체와 혼과 영으로 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임하심의 차이를 설명합니다. 성령이 육체로 임할 때, 혼으로 임할 때, 영으로 임할 때의 차이를 명확하게 묘사하며, 궁극적으로 영으로 임할 때가 가장 좋은 케이스로 생각합니다. 삼분설을 지지하면서 이단 전문가를 할 수 있을지 난감합니다. https://youtu.be/by9gKBABySg - 거듭남의 비밀(진용식 목사)

8. 구원론 2022.08.31

진용식 목사의 거듭남의 비밀

지인으로부터 진용식 목사의 구원론에 대한 칭찬을 많이 들었습니다. 언뜻 이름은 들었지만 한 번도 그의 강의를 들어 본 적이 없었는데, 마음이 이끌려 듣게 되었습니다. 김성수 목사는 누구인가? 여기에 대한 강의를 들었는데 대체로 잘 파악하게 보입니다. 진용식 목사 본인의 신학이 궁금해져서 에 대한 영상을 보았습니다. 어떻게 거듭나는가에 대한 질문과 함께 물과 성령으로 거듭난다는 확신이 보입니다. 진목사는 물을 말씀으로, 성령은 성령으로 해석합니다. 즉 불신자가 말씀(특별히 복음을 강조)을 들을 때 성령께서 역사하심으로 순식간에 거듭남이 일어남을 강조합니다. 문제는 무엇일까요? 여기에서 아쉬운 점이 발견됩니다. 첫째, 불신자가 거듭날 때로 거듭남을 모두 설명하려는 것입니다. 그것도 성인 곧 말씀을 이해할 정..

8. 구원론 2022.08.31

오리겐의 삼분설과 영지주의

성경을 읽고 종합적으로 체계를 세우는 일은 매우 중요하며 또한 어렵기도 한 과제입니다. 인간의 구조를 육체와 영혼으로 보는 이분설과 육체와 영과 혼으로 보는 삼분설이 있습니다. 오리겐은 대표적으로 삼분설을 주장했습니다. 그런데 삼분설을 주장하는 한 그룹이 있었으니 바로 영지주의자들입니다. 영지주의자들은 헬라철학의 영향을 받았기에 삼분설을 무난하게 수용합니다. 삼분설을 주장한 자들의 문제는 여러 곳에서 발생합니다.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죄에 대한 이해입니다. 오리겐은 성경을 삼 분설에 근거해서 해석하며 가르쳤습니다. 하나님을 성부, 성자, 성령의 삼위로 된 것처럼, 인간 역시 영, 혼, 몸의 세 요소로 구성되었다고 보았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초대교회 이단 영지주의자들도 삼분설을 이용해 교회를 미혹했습니다..

31. 사색 2022.08.30

모세가 제사장이었나?

성경을 읽다보면 뜬금없이 등장하는 용어들이 우리를 낯설게 만듭니다. 아브라함을 선지자로 묘사하는 부분이나(창20:7) 아론의 누이 미리암도 선지자라는 호칭입니다(출15:20). 모세 또한 선지자였고 스스로도 그렇게 인식했습니다. *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희 가운데 네 형제 중에서 너를 위하여 나와 같은 선지자 하나를 일으키리니 너희는 그의 말을 들을지니라(신18:15) 그런데 모세는 선지자 뿐만 아니라 제사장으로도 일컬음을 받습니다. 모세가 언제 제사장이 되었고, 그 직무를 감당했을까요? * 그의 제사장들 중에는 모세와 아론이 있고, 그의 이름을 부르는 자들 중에는 사무엘이 있도다(시99:6) 모세는 사무엘처럼 선지자, 제사장 그리고 사사(왕)의 직분까지 받았습니다. 예수님이 이 땅에서 받았던 직분과 ..

6. 난해구절 2022.08.29

그리스도가 죽으신 이유

메시아이신 예수님은 왜 죽으셨을까요? 수많은 이유들이 있지만 유독 강조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영원한 형벌로 떨어질 우리들을 생명으로 옮기기 위함입니다. 여기서 주의 할 점이 있습니다. 지나치게 칭의만 보는 것입니다. 주의 죽으심을 통해 성화를 보는 것은 관점을 확장시키며, 성경 전체의 흐름을 제대로 볼 수 있게 합니다. * 예수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사, 우리로 하여금 깨어 있든지 자든지, 자기와 함께 살게 하려 하셨느니라(살전5:10) 주님께서 우리를 위해 죽으심은 항상 주님과 연합시키기 위함입니다. 주님께서 죽으심으로 우리 성도들과 한 몸을 이루셨습니다. 주님은 자신의 이름으로 보낸 성령을 통해 성도들과 연합되고 한 몸이 되었습니다. 결혼한 부부가 일평생 함께 거하듯이 한 몸을 이루고 연합하셨습니다...

6. 난해구절 2022.08.26

신학교 시험 문제

신학교 시험문제로 이런 유형이 나온다면 어떤 답을 써야 할까요? 문제) 에녹, 노아, 아브라함, 욥, 다윗, 솔로몬, 다니엘 그리고 베드로와 바울에게 있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구속사적 관점에서 기술하시오. 여러 가지 답들이 나올 수 있습니다. 제 개인적인 관점에서 점수를 줘 볼까요? 1. 60점 답변 위의 9명은 모두 구속함을 받았습니다. 비록 7명은 구약시대에 살았지만 장차 오실 예수님을 바라보았기에 구속함을 받았고, 나머지 신약시대(베드로와 바울) 사람들은 예수를 믿었기에 구속을 받았습니다. 그러므로 공통점은 예수를 믿었기에 구원을 받았다는 점이고, 차이점은 구약시대에는 희미한 상태로 보았고, 신약시대에는 선명한 상태로 예수님을 만났다는 점입니다. 2. 100점 답변 위의 9명 모두 구속함을 받았습니다..

6. 난해구절 2022.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