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는 왜 드리라 하는가? 신앙의 가정에서 태어난 자녀들은 제사를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거의 접하지 못하기에 생소합니다. 그뿐 아니라 한국식 제사와 성경의 제사가 왜 그토록 다른지도 이해 못합니다. 성경의 제사제도의 특징을 몇 가지로 요약해봅니다. 1. 철저하게 죄 사함이 목적 제사의 주 목적이 죄 사.. 10. 레위기 2017.04.12
다섯 가지 제사 구약교회를 형성했던 이스라엘 백성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율법을 지켜야 합니다. 율법을 지킨다는 것은 제사와 더불어 여러 가지 의식에 참여합니다. 태어난 지 팔 일 만에 할례를 받습니다. 태어난 후 7일까지는 부정한 상태입니다(레12:2). 팔 일이 되어서 정결하게 되는 할례식을 치룹니.. 10. 레위기 2017.04.09
외부에서 본 레위기 레위기는 어떤 설명도 생략한 채 곧바로 다섯 가지 제사의식을 기록합니다. 조금 여유를 가지고 다른 성경들은 어떻게 레위기를 보고 있는지 찾아보면서 이해를 다지면 레위기 공부에 도움이 될 듯 합니다. 1. 족장들과 맺은 언약과 시내산 언약의 관계 하나님이 사람과 맺은 언약은 생각.. 10. 레위기 2017.04.09
히브리서를 통해 본 레위기 로마에 거하는 유대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책인 히브리서를 통해 구약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제 글쓰는 것을 좀 쉬려고 하는데 마무리 시점에서 레위기에 대한 강한 열정이 일어납니다. 왜 레위기로 가야하는지 생각해보니 히브리서와 레위기는 밀접하게 연결되게 보입니다. 레위기를 .. 10. 레위기 2017.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