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신앙서적

장르분석과 성경해석(권성수 교수)

오은환 2020. 2. 15. 08:08

이 글은 총신대학원 '강의안'으로 권성수 교수님이 쓰셨습니다.

오래 전(2005년)에 간략하게 요약했던 것을 올려봅니다.


1. 문학비평이란 무엇인가?(리랜드 라이킨 교수)

* 해석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으로 작품 속의 구조와 통일성을 먼저 살핀다.

 ① 이야기의 구조는 무엇인가?

 ② 재료를 선택하고 통합하는 원리들은 어떤 것인가?

    (작가의 경험에 근거해서 이루어진다)

 ③ 개별적인 에피소드들이 이러한 총괄적인 설화원리들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④ 이야기들이 어떤 순서로 전개되고, 이런 사건배열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⑤ 구도의 갈등들은 무엇이며, 그것들이 어떻게 해소되는가?

 ⑥ 이야기가 전개되면서 주인공이 어떻게 되어가는가?

 ⑦ 그 이야기에서 어떤 원형적 구도 모티프가 중요한가?

 ⑧ 이야기의 주제적 의미가 설화형식 속에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가?

 ⑨ 본문배후의 신학이나 역사보다도 작품자체(문학형태)로 돌아가자는 의미


2. 문학비평의 위험성 - 성경을 하나의 문학작품으로 해석하면,

 ① 권위를 손상시킬 수 있다 - 하나님의 계시가 약화된 인간의 작품

 ② 비유와 우화로 전락될 수 있다.

 ③ 성경이 사실이 아닌 독창적, 허구적 글이 될 수 있다.


3. 장르에 대한 역사적 접근

아리스토 텔레스

 ① 장르가 하나의 문학작품을 통제한다(통제설).

 ② 고유한 장르가 작품의 의도된 의미를 제공한다.

 ③ 어떤 작품이 시라면 시의 장르에 의해서 해석해야 한다.

 ④ 오늘날은 외부로부터 한 작품에 장르특징들을 부여하는 방법보다는 작품 자체에서 시작하는

    추론적 방법이 선호되고 있다.


플라톤

 ① 장르는 작품을 서술한다(서술설).

 ② 독자는 인식론적 차원에서만 이해를 할 수 있으므로 장르분석은 본문과 더불어 독자를 고려해야 한다.

 ③ 현대의 많은 문학비평가들은 독자/파악/해석자가 해석학적 과제에 인식론적 측면과 존재론적 측면을

    도입하였는데, 이것 때문에 장르 분류설을 주장할 수 없다고 믿는다.

    오스본은 이에 대한 비판으로 주관주의에 빠질 위험성을 경고한다.


4. 트램퍼 롱맨의 장르분석

위험성(부정적 측면)

 ① 문학비평 자체 안에 이론의 분열과 자체 모순이 있다.

     성경학자는 문학비평의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실수할 수가 많다.

 ② 문학비평의 이론이 때로는 모호하다.

 ③ 서구의 개념들을 고대의 문헌에 도입하여 성경본문을 심각하게 왜곡할 수 있다.

 ④ 저자의 의도나 본문의 결정적인 의미를 완전히 없애버릴 수 있다.

 ⑤ 지시적 기능을 부인하고 무제한의 기호놀이에 빠질 수 있다.


☆ 유익성(긍정적 측면)

 ① 성경문학의 인습들을 보여준다.

 ② 텍스트 전체(자체)를 강조한다.

 ③ 독서 과정에 초점을 둔다.


5. 저자 중심의 해석

 ① 자료비평

   텍스트 배후의 자료들과 전승들 추적

 ② 양식비평

   초기 공동체의 삶의 배경과 더불어 텍스트 내부의 다양한 양식들 파악

 ③ 정경비평

   텍스트를 정경으로 받아들인 신앙공동체의 정경과정의 단계들에 나타난 해석 활동들 파악


6. 텍스트 중심의 해석 - 구조주의


7. 독자 중심의 해석

 ① 독자반응비평

 ② 여성신학적비평

 ③ 탈구조주의 비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