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8/30 2

히브리 구조로 본 요한계시록(3) - 김형종 박사

김형종 박사(목사)의 요한계시록은 철저하게 히브리 문학 형태를 따라갑니다. 요한계시록이 히브리 문학구조(키아즘)로 구성되었다고 주장하며, 그런 방식으로 접근합니다. 시간(창조 이전, 창조, 초림, 재림)과 공간(지상, 천상)까지 고려하면서 해석합니다. 심판 재앙들 역시 이런 구조로 접근해서 독특한 해석을 합니다. 병합구조(인, 나팔, 대접 재앙은 셋이 아니라 하나)로 접근해서 인과 나팔 재앙은 역사적으로 발생한 사건이 아니고 오직 대접 재앙만 역사성을 지닌다고 주장합니다. 다소 무리한 접근이라서 얼마만큼 공감을 줄지는 모릅니다. 1. 언제 재림이 일어나는지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는다. 인 재앙과 나팔 재앙의 역사성을 부인하기에 모든 관심은 대접 재앙들에 맞춰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일곱째 나팔이 울릴 때 재..

4. 계시록 도서 2023.08.30

김형종 박사 요한계시록(2)

'읽기만 해도 열리는 요한계시록'을 저술한 김형종 박사의 견해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1. 황충은 악한 천사들 황충을 이끌고 있는 무저갱의 사자를 사탄과 견줄만한 존재이며, 황충들은 사탄의 수하들이다. "황충은 사탄을 따르는 악한 영들이라고 저자 요한이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p.163) 이런 관점은 문제가 많습니다. 황충은 하나님의 인침을 받지 아니한 자들만 공격하기 때문입니다. 사탄이 사탄을 공격하면 그 나라가 설 수 있겠는가라는 예수님의 말씀을 되새겨 보아야 합니다. 2. 두 증인 - 애매함 "두 증인은 두 선지자이고 또한 주님의 해석대로 두 교회이다...그러므로 두 교회는 그 교회의 사자와 교회로 병행되어 설명하고 있는 대로 그 두 증인이 마지막 때 예언의 사명을 다해야 한다."(p. ..

4. 계시록 도서 2023.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