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핀(4) - 오순절은 구원의 서정이 아니라 구속역사이다 개핀의 오순절 이해는 확고합니다. 오순절은 구원의 서정이 아니라 구속역사에서 보아야 함을 강조합니다. "여기서 본인의 입장은 오순절 사건은 "구원의 서정'으로 이해할 것이 아니라, '구속역사'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오순절 성령세례는 오늘날도 계속 이용되는 사건의 일부.. 9. 성령 2016.09.09
개핀(3) - 제자들은 미리 성령을 받았나? 개핀 교수는 오순절 성령강림으로 제자들이 확 뒤바뀐 것이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오순절 이전부터 제자들은 이미 바뀌어 있었다는 것이 그의 정설입니다. 더 구체적으로 보면 예수님이 부활하신 후부터 오순절까지 성령의 내주로 단계적인 성숙의 과정을 겪었다고 주장합니다. 개핀은 .. 9. 성령 2016.09.09
개핀(2) - 구약 백성들은 <영광스런 연합>이 없는가? 개핀(1)에 이어서 그의 구약 이해를 조금 더 다룹니다. 그는 구약 백성들이 신약백성들과 차별이 있음을 인정합니다. 단순히 모형과 실체의 차이가 아닌 더 구체적으로 풍성함에서 부족함을 드러냅니다. 1. 구약백성들은 중생, 칭의, 성화를 받았다. 개핀은 매우 간략하게 구약성도들의 상.. 9. 성령 2016.09.08
개핀(1) - 구약의 성령 이해 리차드 개핀은 웨스트 민스터 신학교의 신약교수를 지냈습니다. 역자인 권성수 목사님은 총신대학원 교수로 섬기다가 현재 대구에서 목회합니다. 아래 글은 <성령 은사들 - perspectives on pentecost, 기독교 문서선교회, 리차드 개핀 저, 권성수 역> 책의 내용들을 요약 평가한 것입니다. 1. .. 9. 성령 2016.09.08
구약 성도들은 복음을 전했는가? 성령이 없이 복음을 전할 수 있으며, 성령이 없이 듣는 자들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요? 매우 중요한 질문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단순하게 생각합니다. 구약은 이스라엘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굳이 복음을 전할 필요가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성령이 내주하지 않았기에 복음 .. 9. 성령 2016.09.06
새로운 성령론 연구 방법 제안 지금까지 구약 성령론 연구는 매우 단조롭게 진행되었습니다. 지나칠 정도의 단조로움은 메마름이란 열매를 맺게 했습니다. 1. 르아흐(바람, 영, 생기) 중심의 연구 구약의 성령론은 대부분이 <르아흐>라는 한 단어에 집착해왔습니다. 이 단어만 골랐고, 다른 의미를 지닌 것은 버렸습.. 9. 성령 2016.09.02
오해를 일으키는 성령내주 없음(1) 성령이 사람 안에 내주하심에 대한 두 가지 의문을 해결했습니까? ① 언제부터 내주했는가? ② 어떻게 해야 내주하는가? 성령이 언제부터 사람 안에 내주하였는가에 대한 오해가 많습니다. 대부분이 오순절 이후에 가서야 성령 내주를 인정합니다. 아래 구절들은 많은 오해를 불러 일으.. 9. 성령 2016.08.26
예배와 성령 구약 백성들의 신앙생활은 어떻게 했을까요? 우리는 너무 기본적인 틀을 찾다가 생활을 놓치기 쉽습니다. 신앙은 기본 틀을 잡고, 삶까지 실질적으로 연결되어야 합니다. 구약 백성들(이스라엘)의 예배는 어떻게 드려졌을까요? 1. 예배의 정의 예배란 하나님을 향한 경외함으로 경배하는 .. 9. 성령 2016.06.26
성령의 모습 성부, 성자, 성령의 형상은 동일할까요? 다를까요? 가족의 개념으로 본다면 모두 동일한 형상을 지녀야 할 것입니다. 모든 동식물 역시 가족은 동일 형상을 지닙니다. * 하나님이 이르시되,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창1;26) 삼위로 불리는 .. 9. 성령 2016.06.15
야곱은 천사에게 기도했는가? 족장들은 누구에게 기도했을까요? 그들의 기도생활을 드러다보면 특이한 표현이 나옵니다. ※ 나를 모든 환난에서 <건지신> <여호와의 사자>께서 이 아이들에게 복을 주시오며, ... 이들이 세상에서 번식하시기를 원하나이다(창48:16) 1. 건지신 것인가, 구속한 것인가? 번역상 애매.. 9. 성령 2016.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