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령의 외주??? 성령은 사람들뿐만 아니라 모든 피조물들에게 생명을 주시고 보존하시기에 계시지 않는 곳이 없습니다. 구약성도들에게 성령의 외주만 있고, 내주는 없다고 주장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외주라는 말이 무엇입니까? 내주와 달리 성령이 사람 안에는 거하지 않고 주변에만 거한다는 의미입.. 9. 성령 2017.10.02
제자들은 언제부터 성령이 내주했는가? 성령이 내주하는 것을 성도들은 어떻게 인지할까요? 성령으로 신앙고백이 일어나며, 하나님을 아버지로 고백할 수 있습니다(롬8:15,16). 제자들이 언제부터 성령이 내주했었는지 논란이 됩니다. 공생애 기간에 예수님이 특별히 주었다는 견해부터, 부활하신 예수님이 <성령을 받으라 - 요.. 9. 성령 2017.08.13
구약 서민들과 성령 성경을 보면서 특별한 사람들만 언급할 때가 있습니다. 구약에 선지자, 제사장, 왕에게는 성령이 있었지만 다수의 서민들은(?)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맞는 주장일까요? 평범한 삶을 살았던 자들과 성령내주는 무관한 이야기일까요? 1. 회중은 거룩하다 광야에서 범죄한 고라와 다단 일당.. 9. 성령 2017.07.25
좋은 기도 기도에도 종류가 있느냐고 물을 수 있습니다. 좋은 기도 그렇지 못한 기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바울은 자신이 예루살렘에 가면 붙잡히고 예루살렘으로 압송될 것을 알았습니다. 주변의 선지자들 역시 예루살렘으로 가는 길을 만류합니다. 고민 끝에 내린 결론이 무엇입니까? * 그가 권함.. 9. 성령 2017.07.25
행위 구원 오해 구원을 위해 행위가 필요하다고 주장한 분들이 계십니다. 또 행위가 구원에 필수조건으로 오해하는 분들도 계십니다. 믿는 자들에게 있어서 행위는 어떤 것일까요? * 하나님의 성령으로 봉사하고, 그리스도 예수로 자랑하고, 육체를 신뢰하지 아니하는 우리가 곧 할례파라(빌3:3) 신자에게.. 9. 성령 2017.05.16
언약 - 성령과 말씀 ※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내가 그들과 세운 '나의 언약'이 이러하니 곧 네 위에 있는 나의 영과, 네 입에 둔 나의 말이 이제부터 영원하도록 네 입에서와 네 후손의 입에서와 네 후손의 후손의 입에서 떠나지 아니하리라 하시니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사59:21) 총신대학원 김길성 은퇴교수.. 9. 성령 2017.04.23
입술을 여시는 성령 갈라디아 교우들은 자신들이 어떻게 하나님을 아버지라 부르는지 잊었습니다. 예수도 믿고 할례도 행해야 구원을 받는다는 이상한 가르침에 현혹되었습니다. 바울은 그들이 아버지께 나아가게 된 이유를 매우 간단하게 설명해줍니다. 아들의 영을 보내어 하나님을 아버지로 부를 수 있.. 9. 성령 2017.04.15
긍휼을 얻은 자 우리 시대에 긍휼이란 단어는 익숙하지 않습니다. 죽어버린 언어로 사전에 갇혀있듯 보입니다. 그리스도인 이외에 이런 말을 거의 사용하지 않기에 교회 안에만 살아있는 언어가 아닌가 우려됩니다. (긍휼矜恤 - 불쌍히 여겨 돌보아 줌) 우리에게 긍휼은 어떤 의미로 다가올까요? 먼저 반.. 9. 성령 2017.04.12
영광스런 칭호들 이 땅에서 영광의 칭호를 받는 것은 마치 훈장과 같습니다. 하늘에서도 마찬가지로 영광스런 칭호를 받으며 면류관이 그것을 증명할 것입니다. 칭호란 거저 주어진다면 무가치 할 것입니다. 우리는 구약백성들의 칭호 즉 호칭에 대해 너무 무관심하다가 낭패를 당합니다. 그들이 누구인.. 9. 성령 2017.04.10
죄는 어떻게 이길수 있나요? 삶의 현장에서 죄와 처절하게 싸우는 모습들을 봅니다. 죄와의 싸움은 미궁에 빠지는 것이 아니라 그 결과들을 잘 예측할 수 있습니다. 1. 원죄 1) 아담이 타락한 후 찾아온 것은 무엇인가? 아담과 함께 했던 삼위 하나님이 떠나셨습니다. 아담은 더 이상 하나님 아버지의 얼굴을 뵈옵지 못합니다. 생명을 제공해주신 예수님도 떠났습니다. 성령의 연합은 산산히 깨어졌습니다. 삼위 하나님이 떠나심이 곧 원죄입니다. 아담이 지음을 받을 때부터 함께 했던 하나님이 떠나가신 것입니다. 하나님이 떠나 버린 상태가 곧 선이 없는 죄의 상태입니다. 2) 아담의 후손이 원죄를 지닌 채 태어난다는 말은? 원죄가 무엇인가에 대해 논란이 많습니다. 아담의 대표성에서부터 생물학적 죄의 전가까지 다양한 의견들이 존재합니다. 중요한 것은.. 9. 성령 2017.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