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칼빈신학 122

칼빈의 천사 이해(1권, 14장, 3-12)

칼빈의 천사 이해에 큰 도움을 제공합니다. 기독교 강요 1권, 14장, 3-12번의 지면을 할애해서 설명합니다. 4. 우리는 천사에 대하여 사변에 빠질 것이 아니라 성경의 증거를 찾아내야 한다. "천사들은 하나님의 명령을 수행하도록 임명받은 봉사자들이기 때문에 저들 역시 하나님의 피조물이라는 사실은 논쟁의 여지가 없다. (천사에 관하여 말씀이 허락하는 범주 안에서만 다뤄져야 한다.) 하나님의 말씀이 우리에게 전달하는 것 이외의 그 어떤 '모호한 문제에 대하여'는 말하지도 생각하지도, 심지어는 알려고도 하지 않도록 겸손과 진실에 관한 규범을 지켜야 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쓸모 없는 무리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떠나 천사의 성질, 계급, 수에 대하여 가르치는 그 공허한 사색을 떠나야 한다.(종말에 가서야 ..

21. 칼빈신학 2018.02.04

여호와의 말씀은 모두 성자인가?

신복윤 교수는 칼빈이야말로 구약성경에 매우 뛰어난 지식을 지녔다고 칭찬합니다. 그런데 칼빈은 '말씀'이란 단어를 종종 성자라고 생각합니다. 교부들이 성령께서 창조사역에 참여하였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인용한 구절을 반박합니다. * 으로 하늘이 지음이 되었으며 그 만상을 으로 이루었도다(시33:6) 칼빈은 앞의 여호와의 말씀이 성자를 가리키며, 뒤의 입 기운 역시 성자라고 주장합니다. "여기에서 나는 옛날 교부들이 사용한 많은 증거를 일부러 생략하려고 한다. 저들은우주의 창조가 성자의 사역인 것과 마찬가지로 성령의 사역이기도 하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시33:6절을 인용하지만, 이 주장은 논거가 빈약하다. 모두 성자를 가리키고 있다"(p.228) 천지창조에 관하여 삼위 하나님이 일하시는 것을 분명하게 알아..

21. 칼빈신학 2018.02.03

구약성경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신성(1권, 13장, 7-13번)

기독교 강요 1권, 13장 7-13번에 나오는 소주제들입니다. (성자의 영원한 신격) 7. 말씀의 신격 칼빈은 히1:2-3을 통하여 세상을 창조한 성부의 말씀이 곧 그리스도였다고 증언합니다. "우리는 당연히 말씀이 창세 이전에 성부에게서 나신 것으로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된다. 모세는 우주창조 기사에서 이 말씀을 로 제시함으로서 이를 명백하게 가르치고 있다. 사도들 역시 세상이 성자로 말미암아 지음을 받았으며, 그의 능력의 말씀으로 만물을 붙드셨다고 가르친다 (히1:2-3). 여기서 우리는 말씀이 성부의 영원하시며 본질적인 말씀이신 성자의 명령 혹은 위임으로 이해하고 있음을 보고 있는 것이다"(기독교 강요, 상, p.213-214) 다소 오해가 되는 곳도 있습니다. 칼빈이 창조사역에 동참했다고 주장하는 가..

21. 칼빈신학 2018.02.03

말씀과 성령은 불가분의 관계(1권, 9장, 3번)

기독교 강요, 제 1권, 3번의 소제목은 입니다. 칼빈이 본 성경의 문자는 그대로 있으면 아무런 생명력을 전달하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성경 말씀이 생명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성령의 조명과 역사가 반드시 동반되어야 합니다. "문자(말씀)가 성령으로 말미암아 우리의 마음에 효과적으로 새겨지며, 그리스도를 제시하기만 한다면, 그것은 영혼을 소생케 하고, 우둔한 자로 지혜롭게 하는(시19:7) 생명의 말씀이 될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성령이 임하면 즉시 말씀을 폐기할 생각으로 일시적인 전시를 위해 자신의 말씀을 인류에게 보이신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하나님께서 동일한 성령을 보내셔서 그 권능으로 말씀을 나누어 주신 것은, 그 말씀에 대한 효과적인 확증으로 자신의 일을 완성하시기 위함이었다. 하나님의 자녀..

21. 칼빈신학 2018.02.03

기독교강요 : 역사, 저작 목적, 사상적 배경

칼빈(1509-1564)의 기독교 강요의 저술 목적 및 배경과 사상에 관하여 의 글입니다. 번역자로서 독자들의 이해를 돕는 차원에서 잘 설명해 줍니다. 1. 역사 기독교 강요 초판은 라틴어로 1536년 4월에 스위스 바젤에서 출판 되었습니다. 모두 6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첫 4장은 율법(십계명 해설), 신앙(사도신경 해설), 주기도, 성례전으로 되어 있고, 이것은 루터의 요리문답서의 순서를 따라 배정된 것입니다. 1539년 두 번째 개정판이 나왔는데 6장에서 17장으로 늘어났습니다. 초판에 비하여 제본이나 인쇄가 깔끔했으며, 문체 역시 아름다웠습니다. 재세례파를 논박하기 위해 신약과 구약의 관계를 다루는 장을 새롭게 삽입했습니다. 2년이 지난 1541년에는 칼빈의 모국어인 프랑스어로 번역하였습니다. 프랑..

21. 칼빈신학 2018.02.02

외적 은혜의 수단(기독교 강요, 제 4 권)

목차에는 생략된 각 장의 소제목들을 살펴보면 기독교 강요의 뼈대가 선명하게 보입니다. 기독교 강요 1-4권은 80장, 1,276개의 소제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 1 권 - 18 장 - 160 주제 제 2 권 - 17 장 - 250 주제 제 3 권 - 25 장 - 382 주제 제 4 권 - 20 장 - 484 주제 총 4 권 - 80 장 - 1276 주제 제 1 권 창조주 하나님에 관한 지식 제 2 권 그리스도 안에 계신 구속자로서의 하나님의 지식:처음(구약)에는 율법으로 조상들에게, 그리고 다음(신약)에는 복음으로 우리에게 계시되었다. 제 3 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 4 권 하나님께서 우리를 그리스도의 공동체로 인도하시며, 우리를 그 안..

21. 칼빈신학 2018.01.31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기독교 강요 3권)

목차에는 생략된 각 장의 소제목들을 살펴보면 기독교 강요의 뼈대가 선명하게 보입니다. 제 1 권 창조주 하나님에 관한 지식 제 2 권 그리스도 안에 계신 구속자로서의 하나님의 지식:처음(구약)에는 율법으로 조상들에게, 그리고 다음(신약)에는 복음으로 우리에게 계시되었다. 제 3 권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어떤 유익이 우리에게 오며 어떤 효력이 따르는가? 제 1 장 그리스도에 대한 말씀이 성령의 신비함 역사에 의해 우리에게 유익을 준다. 1. 우리를 그리스도와 연합시켜 주시는 띠로서의 성령 2. 그리스도께서는 어떻게 또 무슨 이유로 성령을 받으셨는가? 3. 성경에 나타난 성령의 칭호 4. 믿음은 성령의 역사이다. 제 2 장 믿음 : 그 정의와 속성에 대한 설명 1. 믿음의 대상이신 그리스도 (신앙은..

21. 칼빈신학 2018.01.30

그리스도 안에 계신 구속자로서의 하나님에 대한 지식(2권)

목차에는 생략된 각 장의 소제목들을 살펴보면 기독교 강요의 뼈대가 선명하게 보입니다. 제 1 권 창조주 하나님에 관한 지식 제 2 권 그리스도 안에 계신 구속자로서의 하나님의 지식:처음(구약)에는 율법으로 조상들에게, 그리고 다음(신약)에는 복음으로 우리에게 계시되었다. 제 1 장 아담의 타락과 배반으로 인류 전체가 저주에 넘겨졌고, 그 원 상태가 부패하였다 : 원죄론 (우리 자신을 참으로 알면 자기 신뢰가 없어진다. 1-3) 1. 자기에 대한 그릇된 지식과 바른 지식 2. 사람의 본성은 망상적인 자기도취에 빠지는 경향이 있다. 3. 자기 인식의 가장 중요한 두 가지 문제 (아담의 죄로 인하여 인간이 시초의 천품을 잃었고, 인류 전체가 파멸하게 되었다. 4-7) 4. 아담이 타락한 이야기는 죄가 무엇인가..

21. 칼빈신학 2018.01.29

창조주 하나님에 관한 지식(기독교 강요 1권)

기독교 강요 제 1 권은 입니다. 보편적으로 각 권, 각 장들의 제목까지 목차에 나옵니다. 목차에는 생략된 각 장의 소제목들을 살펴보면 기독교 강요의 뼈대가 선명하게 보입니다. 기독교 강요 1-4권은 80장, 1,276개의 소제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 1 권 - 18 장 - 160 주제 제 2 권 - 17 장 - 250 주제 제 3 권 - 25 장 - 382 주제 제 4 권 - 20 장 - 484 주제 총 4 권 - 80 장 - 1276 주제 제 1 권 창조주 하나님에 관한 지식 제 1 장 하나님에 관한 지식과 우리 자신에 관한 지식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면 이 둘은 어떻게 서로 연결되어 있는가? 1. 자신을 알지 못하고는 하나님을 알지 못한다. 2. 하나님을 알지 못하고는 자신을 알지 못한다..

21. 칼빈신학 2018.01.29

신구약의 차이점

칼빈의 기독교 강요 제 2권, 제 11장에서 신구약의 차이점을 다룹니다. 1. 지상의 복리를 역설했으나 그것은 하늘 일을 생각하게 하려는 뜻이었다. 2. 지성적 약속은 구약 교회의 유년기에 해당했고, 지상적인 것에 소망을 국한한 것이 아니다. 3. 신체적인 혜택과 신체적인 벌은 예표다. 4. 이 차이의 의미 5. 교회의 유년기와 성년기 6. 믿음의 위인들도 옛 언약의 범위내에 국한되어 있었다. 7. 이 차이의 성경적 근원과 의미 8. 고린도 후서 3장에 의해서 차이점을 상론한다. 9. 바울의 가르침 10. 율법과 복음 11. 그리스도 안에서는 장벽이 무너진다. 12. 이방인들을 부르심 13. 대체로 무슨 까닭에 차이가 있는 것인가? 14. 모든 사람을 뜻대로 다루시는 하나님의 자유

21. 칼빈신학 2018.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