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신학지남 98

요한계시록 20장은 어떤 천년설을 지지하는가?

이 논문은 신학지남 2017년 가을호에 실린 글입니다. 김상훈 교수의 글로 계시록 20장을 시간적으로 혹은 논리적으로 볼 것인가에 대한 생각을 정리한 글입니다. 저자는 천년설을 다루기 전에 심판재앙(인, 나팔, 대접)을 통해 계시록의 흐름을 정리합니다. 이런 재앙들이 시간의 흐름을 무시하지 않으며, 일정한 순서를 따르고 있음을 인정합니다. 또한 천년설을 기존의 계시록 20장 1- 6절로 한정하지 않고, 7-10절까지 연결하여 시간적인 흐름을 따라 전개된다고 주장합니다. 저는 김상훈 교수의 이런 일반적인 흐름을 다루려는 것이 아니라 저자가 주장하는 것중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들을 같이 생각하고자 합니다. 천년기에 참여하는 자들과 새 하늘과 새 땅에 들어가는 자들에 대한 저자의 생각입니다. "본문에는 천년 나..

24. 신학지남 2018.01.09

유아세례의 신학적 정당성

유아세례의 신학적 정당성(신학지남 2004년 봄호, 최홍석 교수) Ⅰ. 들어가는 글 개혁신학에 이르러 신약과 구약의 연속성과 통일성을 강조하는 언약신학이 발달하게 되었다. 비개혁신학의 전통을 따르는 자들은 신학적 이해가 부족하다. 우리 장로교 안의 일부 신자들이나 목회자들 사이에도 유아세례의 정당성과 필요성에 대한 확신이 때로 부족하거나 흔들리는 경우들이 있다는 것이 사실이다. 유아세례는 교회 안에서 필히 시행되어야 할 성례이다. Ⅱ. 교부들의 증언 1. 이레니우스(130-200) 여러 계층의 구원의 대상들에 관해 말하면서 특별히 유아들이 구원의 대상임을 강조하여 진술한다. "예수는 그 자신을 통하여 만인을 구원하기 위해 오셨다. 내가 말하는 모든 사람이란 그를 통해 하나님 안에서 다시 태어난 사람들이다..

24. 신학지남 2018.01.07

칼빈의 유아세례 이해

- 김요셉(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역사신학 교수) Ⅰ. 서론 : 종교개혁적 차원에서의 유아세례 논증 연구 16세기 종교개혁 당시 개혁자들은 로마 가톨릭과 급진개혁세력 양편을 상대로 올바른 성례를 회복하기 위한 치열한 논쟁을 벌였다. 그 가운데 유아세례를 둘러싼 재세례파와 주요 종교개혁자들 사이의 논쟁은 정체성을 분명히 하고, 더 나아가 종교개혁의 성패를 좌우할만한 중요한 논쟁점들 가운데 하나였다. 칼빈은 로마 가톨릭이 7성례나 화체설로 왜곡시켜 놓은 예배를 성경대로 회복하려 했을 뿐 아니라, 재세례파들의 기존의 예배와 교리를 전면적으로 부정하는 급진적인 태도도 거절했다. 재세례파에 대한 칼빈의 비판은 을 변호하는존증에서 가장 뚜렷이 나타난다. 칼빈은 단순히 기존 질서의 제도를 유지하기 위해 유아세례를 변호..

24. 신학지남 2018.01.03

자살하면 지옥에 가는가?

이 논문은 신학지남에 실린 글로서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이상원 교수의 글입니다. * 들어가는 말 1. 자살이란 무엇인가? 2. 성경적 관점에서 본 자살 3. 교회사적 관점에서 본 자살 4. 개혁주의 구원론의 관점에서 본 자살 * 나가는 말 자살이란 무엇인가? 먼저 정의를 내리면,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아니면 죽음의 위협이 찾아 왔을 때 그 위험을 피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협에 자기 목숨을 내어 주는 행위를 가리킨다. 이 논문이 추구하는 성도의 자살이란 관점에서 성도의 범주도 정의해야 한다. "성도란 삼위 하나님 앞에서 그리고 교회의 회중 앞에서 신앙고백을 하고, 세례를 받았을 뿐만 아니라, 설교를 통하여 은혜도 받고 신앙도 성장하고 교회를 섬기는 모습을 통하여 목회자뿐만 아니라 교인들이 참된 신자로 ..

24. 신학지남 2017.06.01

교회의 본질(김길성교수)

이 논문은 로서, 원래 하나의 글이지만 편의상 교회의 기원/교회의 본질이라는 두 개의 제목으로 나누어 기재합니다. 1. 교회의 본질 신약성경에서 교회를 지칭하는 에클레시아라는 용어의 사용은 히브리어 성경과 칠십인경 (이집트 프톨레미 2세 필라델푸스 왕 - BC285-246)을 통하여 신약성경의 저자들에게 자연스럽게 연결되었습니다. '부르다, 소집하다'의 의미를 지닌 카할과 '지정된 장소에 함께 모이다'의 의미를 가진 에다가 교회로 사용됩니다. 이 둘에 대한 연구가 신학자들 사이에서 많이 연구되었지만 통일된 견해를 이끌어내지는 못합니다. "신약성경에서 에클레시아(교회)는 몇 가지 용례로 사용됩니다. ① 지교회(a local church)를 의미하는 경우 : 예배를 위해 구별된 일정 지역에 있는 신자들의 모..

24. 신학지남 2017.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