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03 3

바빙크가 이해한 구약의 성례

바빙크의 책을 읽다보면 그가 얼마나 구약을 이해하는지 궁금해집니다. 구약 백성들이 그리스도 안에 있다는 말을 하면서도 그 깊음을 인지하기 어렵습니다. "셋째로, 이스라엘의 제사는, 제사장 제도나 성전이나 제단 그리고 의식적인 규례 전체가 그렇듯이, 약속을 섬기는 것이었다. 제사로 말미암아 은혜 언약이 성립되는 것은 아니었다. 왜냐하면 그 언약은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우신 선택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제사들은 다만 이스라엘에서 그 언약을 유지하고 굳게 세우는 데에만 이바지하는 것이었다. ...제사들(특히 번제와 속죄제와 속건제)도 이스라엘이 언약의 범위 내에서 저지른(즉, 고의가 아니라 실수로 자기도 모르는 새에 저지른) 죄들을 속할 수 있는 길을 의식적으로 지시해 주는 것일 뿐이었다."(p. 433) 바빙크..

25. 사상사 2023.05.03

구약시대에 이미 활동한 성자(바빙크)

바빙크는 성자 예수께서 이미 구약 이스라엘 가운데 일하셨다고 주장합니다. 언약의 사자(말3:1)와 여호와의 사자로서 활동했다는 것입니다. "인류의 역사를 올바로 해석하고, 이스라엘 백성과 그들의 신앙을 올바로 바라보기 위해서는, 그리스도께서 육체로 오시기 이전의 말씀의 존재와 활동에 대한 이러한 가르침이 지극히 중요하다... 하나님의 말씀(로고스)과 그의 지혜가 온 세상에 역사했으나, 이스라엘에게는 그것이 언약의 사자로서, 여호와의 이름의 현현으로서 자신을 드러낸 것이다. "(p. 350) "그(그리스도)는 구약 시대에도 존재하셨고 일하셨다. 에베소의 그리스도인들은 과거 이교도일 때에 그리스도 바깥에서 살았으나, 구약 시대의 이스라엘 사람들은 그리스도와 관계를 맺고 있었다."(p. 351) "그리스도께서..

25. 사상사 2023.05.03

두 가지 구원의 길(바빙크)

바빙크가 성경전체를 어떻게 이해하는지는 모두의 관심사입니다. 개혁교회에 큰 영향을 주었기에 그렇습니다. "타락 이전에 사람이 영생을 얻도록 되어 있었던 길과 또한 타락 이후에 사람이 영생을 얻을 수 있게 된 유일한 길은 서로 굉장한 차이가 있다. 타락 이전에는 '이것을 행하라, 그러면 살리라' 라는 원칙이 적용되었다. 그때에는 하나님의 명령에 대한 완전한 순종을 통해서 영생을 유업으로 받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타락 후 은혜언약은 사람이 더 이상 영생에 들어가기 위해서 무슨 일을 행할 필요가 없다. 그 언약에 따르면 사람은 처음부터 곧바로 그 영생을 받으며, 어린 아이 같은 믿음으로 받아들이며, 그 믿음으로부터 선행이 나오게 된다. 순서가 뒤바뀌는 것이다. 타락 이전에는 행위를 통해서 영생에 들어..

25. 사상사 2023.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