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 28

성령의 포지션(위치)

요한계시록에서 성령은 다양하게 표현됩니다. 일곱 영(계1:4), 켠 등불 일곱(계4:5), 일곱 눈(계5:6), 사자(앙겔로스 - 계1:1, 22:6, 16)라는 호칭으로 등장합니다. 사도 요한은 천상(새 예루살렘 성)을 환상으로 보았습니다. 보좌를 중심으로 아버지가 있고, 보좌를 둘러싼 이십사 장로들이 있습니다. 매우 특이하게도 성령의 위치는 아버지가 앉아 계신 보좌의 앞입니다. * 요한은 아시아에 있는 일곱 교회에 편지하노니, 이제도 계시고, 전에도 계셨고, 장차 오실 이와, 그의 보좌 앞에 있는 일곱 영과(계1:4) 보좌 앞에 있는 일곱 영의 표현으로 볼 때, 일곱 영은 성부 하나님의 뜻을 행하는 '여호와의 사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아버지의 마음과 뜻과 일하심을 미리 알고 앞서서 그 일을 성..

5. 계시록토론 2023.05.31

산상수훈

- '의'를 바탕으로 본 산상수훈 - '의'라는 단어는 '거룩'처럼 그 기원이 하나님께 있습니다. 윤리적으로 의나 거룩의 상태에 대해 논할수는 있지만, 그것은 온전한 것이 되지 못합니다. 하나님이 우리 안에 있을 때 의가 되고, 우리 안에서 행할 때만 '의의 열매들'을 맺게 됩니다. 더 구체적으로 성령이 내주하심과 힘주심으로 산상수훈을 이해해야 합니다. (이 영상은 바다에 있는 선원들을 위한 것이며, 학교 채플에서 한 설교입니다) ① '의'에 주리고 목마른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배부를 것임이요(마5:6) ② '의'를 위하여 핍박을 받는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그들의 것임이요(마5:10) ③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 '의'가 서기관이나 바리새인보다 더 낫지 못하면 결코 천국에 들어가지 못하리라(..

12. 복음서 2023.05.30

'여호와의 사자'로서 예수님의 생애

성육신 하신 예수님의 직분은 아버지 하나님의 뜻을 행하는 여호와의 사자였습니다. 구약 시대에는 장차 오실 '언약의 사자'(말3:1)였지만, 성육신 하신 이후로는 실제로 사람들에게 '여호와의 사자'로서 아버지의 뜻을 세상에 드러냈습니다. * ...나는 나의 뜻대로 하려 하지 않고, 나를 보내신 이의 뜻대로 하려 하므로 ...(요5:30) * ...나는 항상 그가 기뻐하시는 일을 행하므로 ...(요8:29) 마치 세례 요한이 '사자'로서 주의 길을 예비하시기 위해 자신의 모든 생각들을 드러내지 않고, 보내신 이의 뜻을 행하는데 모든 것을 드렸던 것과 같습니다(말3:1, 마11:10). 예수님은 처음부터 하나님이셨지만 철저하게 아버지께 순종했습니다(사9:6). 하나님과 성육신하신 예수님의 관계는 아들이었고, ..

12. 복음서 2023.05.29

하나님의 보좌 우편에 앉을 때

성경은 미스테리 한 부분이 많습니다. 자세하게 설명이 안 된 부분들이 있기에 대충 생각하면 큰 오류를 낳습니다. 특별히 예수님이 구약 시대에는 어떤 일을 했는가에 대해 오해가 많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예수께서 구약시대에 '하나님의 사자가 되어' 이스라엘을 품에 안고 돌봐 주셨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많은 신학자들이 예수님이 구약 시대에 '여호와의 사자'로 이 땅에 내려와서 활동했다고 주장합니다. 한 마디로 하늘에서 땅으로 오르락내리락 했다는 말입니다. - 여호와의 사자로 나타난 존재들 - 1) 사람들 - 제사장, 선지자들 2) 천사들 - 가장 많이 사용됨 3) 예수님 - 구약에 단 1회 사용됨(말3:1) 4) 성령님 - 종종 사용됨 1. 구약 시대에 성자께서 여호와의 사자로 활동했다는 견해 많은 개혁주의 ..

6. 난해구절 2023.05.26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려면

유대인들의 하나님나라 관념은 구약성경에서 비롯됩니다. 예배 때 드려지는 시편 찬양은 하나님 나라를 갈망하며 노래합니다. *그들이(성도들) 주의 나라의 영광을 말하며, 주의 업적을 일러서(시145:11) * 주의 나라는 영원한 나라이니 주의 통치는 대대에 이르리로다(시145:13) * 시온아, 여호와는 영원히 다스리시고 네 하나님은 대대로 통치하시리로다. 할렐루야(시146:10) 예수님과 세례 요한의 메시지는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는 선포'입니다(마3:2, 4:17). 제자들이나 청중들 모두가 반기며, 반응하는 주제가 하나님의 나라입니다. 하나님 나라를 가장 갈망했던 자들이 12 제자로 부르심을 받았고, 그들은 곧바로 모든 것을 내려 놓고 주님을 따랐습니다. 1. 하나님 나라는 어떻게 볼 수 있으며..

7. 하나님나라 2023.05.25

샌더스(E.P. Sanders)의 "언약적 율법주의"에 대한 재고(再考)

- 샌더스(E.P. Sanders)의 "언약적 율법주의"에 대한 재고(再考) - 이 논문은 총신대학원에서 신약신학을 가르치는 조호형 교수가 쓴 글입니다. (신학지남, 2023년 봄호) 목 차 1. 서론 및 문제 제기 2. 샌더스 이전 상황 3. 샌더스의 등장과 그의 주장 4. 샌더스 이후의 상황 5. 샌더스의 주장에 대한 재고 6. 결론 예수님과 바울이 활동했던 1세기의 유대인들의 율법관을 이해해야만 신약성경의 복음서나 바울서신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먼저 샌더스가 1977년에 "바울과 팔레스타인 유대교'에 나타난 '새 관점'입니다(p. 69). 입니다. 1.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선택하셨다. 2. 그리고 율법을 주셨다. 3. 이 율법은 이 선택을 유지하시겠다는 하나님의 약속과 순종해야 한다는 요구를 암시..

24. 신학지남 2023.05.22

십계명과 구원의 관계

복음서를 통한 예수님의 말씀을 종합해보면 구원론이 보입니다. 현 시대의 학자들이나 성도들의 생각하는 것과는 많이 다릅니다. 우리는 이런 말씀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16. 어떤 사람이 주께 와서 이르되 선생님이여 내가 무슨 선한 일을 하여야 영생을 얻으리이까 17. 예수께서 이르시되 어찌하여 선한 일을 내게 묻느냐 선한 이는 오직 한 분이시니라. 네가 생명에 들어가려면 계명들을 지키라 부자 청년의 질문에 대한 예수님의 답변입니다. 무슨 선한 일을 할 때 영생을 받을 수 있느냐는 질문에 생명에 들어가려면 계명들을 지키라고 명령하십니다. 부자가 질문한 영생은 무엇이며, 예수님이 답변한 생명은 또 무엇일까요? 본문을 통해서 영생과 생명은 다른 단어들과 일맥상통합니다. 우리가 잘 아는 '구원'입니다. ※ ..

8. 구원론 2023.05.21

신명기의 구원 사상(김영욱 교수)

매우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그 방법론 또한 우리의 관심을 끌어내기에 충분합니다. 김영욱 교수는 신명기를 통해 이스라엘 곧 구약 성도들의 구원을 이야기 합니다. 저자가 생각하는 신구약의 구원 관점은 의도치 않는 상황에 부닥칩니다. "신약의 구원론은 명확하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받는다."(p. 9) "구약은 역사적으로 그리스도가 오시기 이전이기 때문에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받는다는 사상은 드러나지 않는다."(p. 11) 과연 보수신학을 하는 신학자가 이런 관점으로 신구약의 구원을 평가해도 될까요? 저자는 구약의 구원 개념을 '구원'과 '구속' 그리고 '속량'이란 단어에 집중합니다. 그리고 신명기에 독특하게 나오는 단어들도 주목합니다. 파다, 야차, 나싸, 나탄, 아싸, 알라 등의 단어입니다..

24. 신학지남 2023.05.20

일곱대접재앙(계16:1-21)의 석의와 신학적 의미 - 김대훈 교수

신학지남 2022년 겨울호(통권 353권)에 실린 김대훈 교수의 논문입니다. 김상훈, 이상웅 교수에 이어서 또 다른 교수가 요한계시록을 다루어서 매우 흥미롭고, 계시록에서 매우 어려운 16장을 논하기에 관심을 증폭시킵니다. 특이하게도 석의의 출발이 기본과 다릅니다. 문학적 → 역사적 → 신학적 접근을 따릅니다. 개혁주의적인 기본에서 조금 이탈했습니다. (문법적 → 역사적 → 신학적 접근) 최근 계시록을 다룸에 있어서 '문학적' 접근을 선호하는데 역시 그런 흐름이 감지 됩니다. 문학적 접근으로 전체적인 틀을 세워서 해석하겠다는 의도입니다. 조금 싱겁게도 서론에서 결론을 드러냅니다. "처음 다섯 가지 재앙(계16:2-11)은 예수의 초림(또는 승천)과 재림 사이에 일어나는 현상을 포괄한다. 여섯 번째와 일곱..

24. 신학지남 2023.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