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438

헤롯 왕이 고백한 그리스도

동방박사 세 사람의 예루살렘 방문은 온 성을 흥분시켰습니다. "유대인의 왕으로 나신 아이가 어디 있습니까?"(마2:2) 헤롯 왕 역시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는 가만히 있지 않고 대제사장들과 온 서기관들을 불러 모았습니다(마2:4). 그리고 묻습니다. "가 어디서 나겠느냐?"(마2:4) 헤롯 왕은 아기 예수를 그리스도로 보았습니다. 그리스도 곧 메시아란 단어를 어떻게, 쉽게 떠올렸을까요? 이것은 단순히 헤롯 왕만 아는 것이 아니라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 모두 잘 알았습니다. 더 나아가 모든 이스라엘 백성들이 잘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유대인들은 구약성경을 통해 메시아와 함께 하고 있으며 그 분이 오실 것을 간절히 기다렸습니다. 이방인 취급을 받던 수가 성의 여인도 그리스도의 오심을 눈이 빠지게 기다렸습니..

6. 난해구절 2020.12.25

감사의 해(year)

작년 12월은 이스라엘과 요르단을 방문했던 시기입니다. 약 25일간의 여행을 통해 가슴이 뜨겁고 재충전된 시간이었습니다. 그 이후 코로나로 인하여 이스라엘에 대한 입국이 금지된 상태여서 지난 여행은 더 값진 듯합니다. 모두를 힘들게 하였던 코로나이지만, 마치 안식년을 보내듯이 쉼의 필요성도 느껴봅니다. 즐거울때나 어려울때나 항상 성령의 인도하심 속에서 행복함을 누렸으면 합니다. 최근 동영상 편집을 10회에 걸쳐 배웠습니다. 이젠 동영상과 웹을 다루는 일에 있어서 두려움이 사라졌습니다. 초보지만 열심히 노력해서 좋은 영상을 만들어 성경의 진리들을 효과적으로 전해보겠습니다. 샬롬... - 이스라엘 아카바에서 요르단 와디럼, 폴란드 바르샤바까지 -

31. 사색 2020.12.24

사탄의 회당

가장 칭찬받는 서머나교회와 빌라델비아교회는 공히 유대인들의 핍박 아래에 있습니다. 스스로를 유대인이라 자랑하는 자들의 핍박은 집요하며 폭력적입니다. 서머나 지역은 폴리갑의 순교가 일어난 곳입니다. * ...자칭 유대인이라 하는 자들의 비방도 알거니와 실상은 유대인이 아니요, 사탄의 회당이라(계2:9) * 보라 사탄의 회당 곧 자칭 유대인이라 하나 그렇지 아니하고 거짓말 하는 자들 중에서 몇을 네게 주어...(계3:9) 타국에서 유대교를 믿는 유대인들과 그리스도인들이 왜 충돌하는 것일까요? 교회와 유대인의 회당의 충돌은 '예수께서 메시아인가' 하는 이유 때문입니다. 신약시대 첫 순교자인 스데반 집사나 바울 그리고 아볼로가 유대인들과 만났을 때 '예수께서 메시아이다'라는 메시지로 큰 충돌이 일어났습니다. 스..

5. 계시록토론 2020.12.23

하늘의 열린 문과 새 예루살렘 성

요한이 보고 들었던 계시는 어디서 받은 것일까요? 막연히 하늘에서 받았던 것일까요? 요한은 주의 날에 계시를 받았는데, 하늘의 열린 문을 통해 하늘 보좌 앞에 올라갔습니다. * 이 일 후에 내가 보니 '하늘에 열린 문'이 있는데 내가 들은 바 처음에 내게 말하던 나팔 소리 같은 그 음성이 이르되, 이리로 올라오라, 이 후에 마땅히 일어날 일들을 내가 네게 보이리라 하시더라(계4:1) 빌라델비아 성도들에게 주신 약속 가운데 '열린 문'이 있습니다(계3:7). 열린 문을 통해 새 예루살렘 성의 기둥이 되게 하십니다(계3:12). * 열린 문 → 새 예루살렘 성 요한이 성령 안에서 하늘에 올라갔던 곳은 동일한 순서를 따릅니다. 하늘의 열린 문은 새 예루살렘 성의 문입니다(계21:12). 그 문을 통해서 새 예..

5. 계시록토론 2020.12.23

열린 문 = 새 예루살렘 성의 열두 문

시련의 바다를 건넜던 빌라델비아 교회에게 주신 말씀입니다. ▣ ...다윗의 열쇠를 가지신 이 곧 열면 닫을 사람이 없고, 닫으면 열 사람이 없는 그가 이르시되, 볼지어다, 내가 네 앞에 열린 문을 두었으되 능히 닫을 사람이 없으리라(계3:7-8) 다윗의 열쇠를 가지신 예수님이 충성된 증인의 삶을 살았던 빌라델비아 교우들에게 주신 약속으로 으로 들어갈 복을 주셨습니다. 열쇠는 문을 열고 닫는 권세를 상징합니다. 예수님이 열고 닫을 수 있는 문은 무엇일까요? 좁게 보면 여러 가지 해석들이 나올 수 있지만 일곱교회에 주신 약속들을 종합해보면 선한 싸움을 싸운 성도들에 대한 상급을 의미합니다. 일곱교회가 각기 다른 상급들을 받은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두 가지로 요약됩니다. 장차 주의 재림으로 임할 새 하늘과 ..

5. 계시록토론 2020.12.23

20세기 신학의 회고와 전망

이 논문은 서철원 교수가 신학지남 1999년 겨울호에 기재했습니다. 천년이 끝나며 또 새로운 천년이 열리는 시점에서 20세기(1900년대) 신학의 흐름을 명확하게 짚어줍니다. 더 나아가 20세기 신학의 틀을 놓았던 19세기 신학까지 명쾌하게 설명합니다. 서철원 교수는 서울대와 동 대학원에서 오랫동안 철학을 전공했습니다. 철학에 대한 깊은 이해가 현대신학을 깊게 통찰할 도구가 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자유주의 신학을 통해 서구 교회들이 쇠퇴하고 혼란에 빠진 것을 애통해 합니다. 또한 이런 흐름을 감지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망가지는 개혁교회까지 엄중한 경고를 합니다. 1. 새 방향의 설정 서철원 교수는 20세기 신학을 슐라이엘마허가 세운 자유주의 신학 곧 내재신학의 반동으로 태동되었다고 주장합니다. 임마뉴엘 ..

24. 신학지남 2020.12.18

서철원 교수와 신학지남

서철원 교수는 1991년부터 2006년까지 총신대학원 조직신학 교수로 활동하면서 많은 논문을 쓰셨습니다. 그의 글은 간결하면서 힘이 넘칩니다. 바른신학을 세우고자 하는 열정이 남다릅니다. 최근 조직신학 전권을 출판했습니다. - 서철원 교수와 신학지남 - 1. 공교회의 종말신앙(1991년 가을) 2. 그리스도인의 학문 활동(1991년 겨울) 3. 장로제도(1992년 봄) 4. 사회정의(1992년 여름) 5. 성령과 말씀(1992년 가을) 6. 표준 새 번역 성경에 대한 신학적 비판(1993년 여름) 7. 성경의 해석(1994년 봄) - 서철원 8. 카알 라이너의 기독론(1994년 가을.겨울) 9. 현대신학의 동향(1995년 봄) 10. 기도의 바른법(1995년 겨울) 11. 보수신학이란 무엇인가?(1996..

24. 신학지남 2020.12.15

구약의 여호와가 성자 예수님인가?

신학서적을 읽다보면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구약성경에 나타난 여호와를 성자 예수님의 현현으로 봅니다. * 여호와 = 성자 그리스도 그러나 이런 프레임은 많은 혼란을 초래합니다. 누군가 그리스도를 향하여 그 분이 우리의 아버지라고 한다면 어떻겠습니까? 여호와가 성자 예수님이라면 예수님을 아버지로 불러야 할까요? 우리에게 아버지가 두 분 있어야 할까요?(히1:6) ▣ 그들이 여호와를 향하여 악을 행하니 하나님의 자녀가 아니요... 그(여호와)는 네 아버지시요, 너를 지으신 이가 아니시냐, 그가 너를 만드시고 너를 세우셨도다(신32:5,6) 다른 곳 역시 여호와가 성자 예수님이라면 혼란함을 느끼게 됩니다. 여호와가 자신을 향하여 앞으로 태어날 사람이라 말하게 됩니다. ▣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희 가운데 네 ..

6. 난해구절 2020.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