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438

예수의 계명 = 하나님의 계명

성경이란 책은 수많은 사람들을 깨우기도 하지만 수많은 생각들을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신앙생활을 하면서도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을 만나기 어려운 이유가 됩니다.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님의 가르침 곧 예수님의 계명들이 구약에 나타난 하나님의 계명들과 다르다고 보는 신학자들이 많습니다. 세대주의자들뿐만 아니라 개혁주의자들도 그렇습니다. 구원의 방법에 있어서도 아직 일치된 견해를 찾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이런저런 방법들이 만들어졌다가 사라지고 또 다시 조금 변형되어서 등장합니다. "하나님 나라에 들어감을 보장받기 위한 조건들을 성취하기 위하여 예수의 계명들을 준수해야 한다" - 신율법주의 예수의 계명은 무엇입니까? 구약 율법을 새롭게 해석한 새 계명입니까? 구약시대에는 요구하지 않았지만 예수님이 오심으로 요구..

12. 복음서 2020.12.03

산상수훈이 열두 제자들을 위해 주신 것인가?

산상수훈에 대한 맥아더의 12가지 해석들을 소개했습니다. 특이한 것은 산상수훈이 언제, 누구에게 주셨는가에 대한 개신교 신학자들의 답변입니다. 헌터(A.M Hunter)는 균형잡힌 접근을 합니다. "따라서 예수의 모든 윤리 교훈들은 그의 인격과 사역 속에서 찾아오시는 하나님 나라의 윤리에 대한 주석이며, 사람들이 하나님의 통치를 받게 될 때 반드시 취해야 할 삶의 방식에 대한 주석이라고 해도 무방하다"(신학지남, 1998년 여름호, p.66-67) 간결하면서도 매우 깊이 있는 접근입니다. 그런데 우려할 만한 것이 나타납니다. 언제부터 산상수훈을 지킬 것인가에 대한 견해입니다. "이제 은총의 속에서 하나님의 의로운 통치에 굴복할 것을 요청받고 있다. ...따라서 하나님의 통치를 받아들이는 모든 사람들로 하..

12. 복음서 2020.12.03

빌립을 통해 받은 복음

예루살렘에 임한 핍박은 초대교회를 흩어지게 만들었습니다. 그 중 빌립 집사는 사마리아로 갔습니다. 사도행전의 흐름을 따라 예루살렘에서 사마리아로 복음이 확대됩니다(행1:8). 흩어진 사람들이 전한 것을 복음 혹은 그리스도를 전파함이라 표현합니다(행8:4,5). 사마리아 사람들은 빌립이 전한 메시지와 표적들을 듣고 믿었습니다(행8:6). 귀신들이 떠나가고 병자들이 치료되고, 장애인들이 나음을 입었습니다(행8:7). 빌립이 전한 그리스도에 관한 복음을 들었던 사마리아 사람들에게 일어난 현상들입니다. * 큰 기쁨(행8:8) * 모두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을 믿었다(행8:12) * 남녀가 다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행8:12) 성경을 연구하던 신학자들은 이 부분을 읽으며 난감해합니다. 성령이 ..

9. 성령 2020.12.02

사마리아인의 성령 받음

신약성경을 읽다가 크게 혼란을 느끼는 구절들이 있습니다. 비슷한 구절들인데 조금씩 표현이 다릅니다. 성령이 존재하지 않다가 갑자기 나타났는가 하는 혼동입니다. ❶ 이는 그를 믿는 자들이 받을 성령을 가리켜 말씀하신 것이라, (예수께서 아직 영광을 받지 않으셨으므로 성령이 아직 그들에게 계시지 아니하더라) - 요7:39 ❷ 그들이 내려가서 그들을 위하여 성령 받기를 기도하니, 이는 아직 한 사람에게도 성령 내리신 일이 없고, 오직 주 예수의 이름으로 세례만 받을 뿐이더라(행8:15,16) - 베드로와 요한을 통해 사마리아 사람들이 성령 받음 ❸ 베드로가 이 말을 할 때에 성령이 말씀 듣는 모든 사람에게 내려오시니(행10:44) - 고넬료와 친구, 친적들에게 내린 성령 ❹ 이르되 너희가 믿을 때에 성령을 받..

9. 성령 2020.11.30

산상수훈에 대한 12가지 해석들

이 글은 신학지남 1998년 여름호에 실린 이한수 교수님의 논문에서 발췌했습니다. 원 제목은 입니다. 저자 이한수 교수님은 현재까지 12가지 산상수훈 해석들이 존재하지만 만족할 만한 설명을 찾아보기 어렵다고 결론짓습니다. 저자는 맥아더(H.A McArthur)의 견해를 따라 12가지 해석들을 소개합니다(p.57-58). 1. 절대주의자 견해 이 견해는 산상설교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 그것을 보편적으로 그리고 문자적으로 적용하고자 한다. 2. 수정주의자 견해 이 견해는 수정주의적 문구들을 산상설교의 계명에 도입하여 그 절대적 성격을 완와해 보고자 한다. 3. 과장법 견해 이 견해는 예수께서 자신의 도덕적 요구들을 극적으로 강조하기 위해 과장법을 사용하셨다는 사실에서 통찰을 얻어 산상설교를 일종의 과장법적인..

12. 복음서 2020.11.30

하나님의 종 예수

하나님의 일을 하는 일꾼의 개념으로 종(둘로스)은 여러 부류가 사용됩니다. 구체적으로 사람(선지자, 제사장, 왕, 사도, 제자들, 성도들)과 천사들입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 용어가 예수님에게도 자주 사용됩니다. * ...하나님이 그의 종 예수를 영화롭게 하셨느니라...(행3:13) 거룩한 종으로 불러지기도 합니다(행4:27). * 손을 내밀어 병을 낫게 하시옵고, 표적과 기사가 거룩한 종 예수의 이름으로 이루어지게 하옵소서 하더라(행4:30) 예수님은 스스로를 종으로 고백하기도 합니다. * 인자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막10:45) 하나님의 이란 호칭과 유사한 단어는 입니다. 사자 역시 일꾼의 개념입니다. 사자(말라크,..

6. 난해구절 2020.11.30

유대인에게 복음이란?

◈ 요한이 잡힌 후 예수께서 갈릴리에 오셔서 하나님의 복음을 전파하여, 이르시되 때가 찼고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으니 회개하고 복음을 믿으라 하시더라(막1:14-15) 예수님이 유대인들에게 전한 복음의 내용은 무엇일까요? 하나님의 복음이나 복음을 믿으라는 말은 무슨 의미일까요? 매우 간결하고 쉬운 듯 하지만 쉽게 설명하기 어려운 곳입니다. 예수님이 부활하고 승천하신 후에 남겨진 제자들은 유대인들에게 무엇을 전했을까요? 의외로 간단하게 묘사합니다. "예수께서 메시아(그리스도)이다" ▣ 그들이(사도들) 날마다 성전에 있든지 집에 있든지 "예수는 그리스도"라고 가르치기와 전도하기를 그치지 아니하니라(행5:42) 다메섹으로 가다가 주님을 만난 바울 역시 동일한 메시지를 전합니다. 그곳에 거하는 유대인들을 간..

6. 난해구절 2020.11.29

구약과 신약의 축도를 통해 본 성도의 정체성

신약과 구약의 축도로 사용되는 구절입니다. ▣ 신약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하나님의 사랑과 성령의 교통하심이 너희 무리와 함께 있을지어다(고후13:13) ▣ 구약 여호와는 네게 복을 주시고, 너를 지키시기를 원하며, 여호와는 그의 얼굴을 네게 비추사 은혜 베푸시기를 원하며, 여호와는 그 얼굴을 네게로 향하여 드사, 평강 주시기를 원하노라...(민6:25-26) 예배를 마무리하면서 드리는 축도는 그리스도의 구속과 성령의 내주로 인하여 그 효력이 발생합니다. 그러면 구약의 축도는 이스라엘(구약 성도들)에게 어떻게 효력을 발생했을까요? 민수기 6장의 말씀을 보면 신약과 동일한 원리를 발견합니다. * 여호와의 얼굴을 네게 비춘다 - 구속으로 인한 결과 * 은혜와 평강 주신다 - 성령의 내주로 인한 결과 하나..

6. 난해구절 2020.11.27